이재명, 5대 은행장 불렀다…벌써부터 상생금융 압박 나서나

20일 ‘상생금융 확대 더불어민주당 정무위 은행권 현장간담회’ 5대 은행장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참석...요구 사항에 촉각

2025-01-16     김대우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행장들을 모아 ‘상생금융’ 확대를 논의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민생 행보를 강화한 것으로 보이지만 야당대표로 금융권을 압박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지적이다.

16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오는 20일 은행연합회에서 ‘상생금융 확대를 위한 더불어민주당 정무위 은행권 현장간담회’를 갖는다. 이날 현장 간담회에는 5대 은행장과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간담회는 더불어민주당과 이 대표 측이 은행권에 요청한 것으로 단순한 은행장과 야당 대표의 만남을 넘어 ‘상생금융’ 확대를 논의하는 자리로 계획되면서 유력 차기 대선 주자인 이 대표가 상생금융 확대 방안을 은행장과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또 다른 압박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더군다나 이 대표는 2023년 은행들의 초과이익을 환수하는 ‘횡재세’ 법안을 추진했었다.

은행권은 일단 이미 추진하고 있는 상생금융 방안을 이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에게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면서도 이 대표 측에서 어떤 이야기를 할지, 실제 상생금융을 추가로 확대하는 방안을 요구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야당 대표까지 상생금융 추가 확대를 요구한다면 민간 금융사 경영활동에 정치권이 과도하게 간섭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은행들이 일회성으로 추진했던 상생금융이 정치권 논리에 따라 사실상 정례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들린다. 

앞서 은행들은 금융당국 요청에 3년간 자체 재원 2조원을 투입해 소상공인 25만명의 채무를 조정하는 ‘은행권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었다. 또 지난해에도 약 2조원의 자금을 마련해 소상공인 187만명에게 이자 환급 등을 지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주들이 배임 소송을 걸 수 있다는 위험까지 감수하며, 이미 2년 연속 수조원의 상생금융 자금을 내놓을 상황에서 추가 상생금융 확대 방안을 어떻게 더 논의한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