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청정산업딜에 CCUS 육성 방안 포함 요구 거세

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청정산업딜 정책 도입 공약 30인 유럽의회 의원과 CCUS 업계, 라이엔에 서한 한국도 2030 NDC에서 CCUS 감축 목표 확대

2025-02-05     이신형 기자
우르슐라 폰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로이터=연합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연임에 성공한 우르슐라 폰데어 라이엔은 EU 집행위원장은 집권 2기에 EU의 산업 경쟁력 회복과 무기 생산 능력 구축, 녹색 에너지로의 공정한 전환 등에 정책의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보와 경제 성장에 대한 정책적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녹색 산업의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정책적 노력도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폰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재집권 시 임기 초에 ‘청정산업딜(Clean Industrial Deal)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청정산업딜‘은 ’EU 그린딜‘의 틀을 유지하면서 산업의 탈탄소화와 경제 성장, 산업 경쟁력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다. ESG 투데이의 보도에 따르면 ’청정산업딜‘은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으로 투자를 유도해 산업 경쟁력과 탈탄소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목표가 담겨있다.

이런 가운데 유랙티브는 3일 30명의 유럽의회 의원이 폰데어 라이엔 위원장에게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개발 촉진 대책을 ’청정산업딜‘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이들은 “산업탄소관리(Industrial Carbon Management)를 우선히 하고 탄소포집저장활용 기술을 청정산업딜에서 산업부문 탈탄소의 핵심적인 기술로 육성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밝혔다.

관련 기업들의 연합체 탄소포집저장협회(CCSA)도 폰데어 라이엔 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같은 요구를 했다.

이들은 저탄소 제품을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CCUS 산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CCUS 기술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로 꼽힌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이 추진되고 있으나, 발전부문이나 일부 산업은 단기간에 탈탄소 전환을 이루기 어려워 CCUS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기술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원에서 포집하거나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도 한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육상 또는 해양 지하저장소에 저장되고 이를 활용해 유용한 제품을 생산하기도 한다.

CCSA의 스테파노 미리엘로 대변인은 “CCUS는 유럽 산업 생태계를 해체하지 않고도 탈탄소화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청정산업딜에 CCUS 육성 방안이 포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EU, ’30년 탄소포집 목표 달성 난망

유랙티브에 따르면 2030년까지 5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현재로서는 이런 목표를 달성할 정도의 진전이 없다. 이런 가운데 EU가 지난해 2월에 발표한 산업탄소관리전략은 2040년까지 연간 약 2억8000만톤의 탄소를 포집한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미라엘로 대변인은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런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탄소포집저장 사업 투자가 현재 투자액보다 2030년까지 약 10억유로 정도 늘어나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가 제공하는 수준으로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부문의 CCUS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으나, 이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다. 그린피스 같은 기관은 CCUS를 홧거연료 인프라 건설을 위한 허가권이라고 비판한다. CCUS 기술의 탄소 제거 능력도 검증이 필요하고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우선 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미리엘로 대변인은 EU의 CCUS 기술은 완전한 상업화가 가능할 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다며 “덴마크의 그린샌드 퓨처(Greensand Future) 프로젝트와 영국의 노던 인듀어런스 파트나십(Northern Endurance Partnership), 넷제로 티시데 파워(Net Zero Teesside Power) 프로젝트 등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내려졌고 노르웨이의 노던 라이츠(Northern Lights) 프로젝트와 네덜란드의 포르토스(Porthos) 프로젝트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던 라이츠 프로젝트는 올해 이산화탄소 주입이 시작될 것”이라며 “이탈리아의 라벤나(Ravenna CCS) 프로젝트도 이산화탄소 주입을 시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CSA는 청정산업딜을 통해 영국과 유럽대륙을 연결하는 탄소 운송망을 비롯해 유럽 전역을 연결하는 탄소 운송망 건설이 이루어지면 규모의 경제로 CCUS 사업 비용 절감과 효율성 제고가 이루어져 적기에 탄소 제거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도 2030년까지 CCUS로 1120만톤 탄소 제거

한국 정부 CCUS를 통해 2030년까지 1120만톤의 탄소를 흡수, 처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8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SK E&S, 삼성엔지니어링, GS칼텍스, SK어스온, 포스코인터네셔널 5개 기업이 공동으로 2030년까지 일일 1000톤급의 준상용급과 하루 3천톤 이상의 상용급 CCUS 설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내에 10억톤의 저장소를 확보하고 호주와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도 추가로 저장소를 확보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서 산업부문의 감축 목표를 종전의 14.5%에서 11.4%로 낮추는 대신 CCUS를 통한 감축목표를 종전의 1030만톤에서 1120만톤으로 높이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CCUS 기술을 통해 2021년부터 205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부문의 누적 탄소배출량이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