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30 의장, 국가 기후 목표 달성에 '탄소 배출권 과의존' 경고
미국 연준 이사, 기후 리스크 관리 강화 필요성 강조
싱가포르 기업 단체, 중소형 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연기 요구
폴란드, 6년 만에 녹색국채 발행하나...녹색채권 프레임워크 개정
말레이시아, EUDR 대응위 설치…저위험국 지위 확보 총력

UN 기후기구 예산 10% 증액 합의…中 분담금도 증가
전 세계 200여개국이 향후 2년간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의 예산을 10% 증액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독일 본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서 이뤄졌으며, 중국의 분담금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번 증액은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피지 등 다양한 국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결정됐다. 이는 미국의 분담금 축소와 유럽 내 정치적 반발로 인한 일부 유엔 기구들의 예산 삭감 기조 속에서 이뤄졌다. UNFCCC는 매년 국가 간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을 주관하고, 2015년 파리협정과 같이 체결된 합의를 이행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op/countries-agree-10-increase-un-climate-budget-2025-06-26/
COP30 의장, 국가 기후 목표 달성에 '탄소 배출권 과의존' 경고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아나 토니 의장은 각국이 탄소 배출권 구매에 과도하게 의존해 기후 목표를 달성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이는 유럽연합(EU)이 사상 처음으로 탄소 배출권 활용을 포함한 204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준비 중인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EU집행위원회는 오는 7월 2일 2040년까지 온실가스를 90% 감축하는 법적 구속력 있는 목표를 제안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부 회원국의 반발로 집행위는 역내 산업에 대해 낮은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나머지 감축분은 국제 탄소배출권 구매로 보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연준 이사, 기후 리스크 관리 강화 필요성 강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마이클 바((Michael Barr) 이사는 26일 은행들이 기후 관련 리스크를 다른 리스크와 동일하게 측정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는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에서 열린 지역사회 개발 회의에서 "기후 리스크는 우리 사회에 실질적인 위협이며, 이를 지금 대응하지 않으면 금융 시스템에도 위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는 조 바이든 전 정부 당시 연준의 금융감독 부의장으로 임명됐으나, 지난 1월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부의장직을 내려놓고 이사직만 유지하고 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op/feds-barr-says-banks-must-manage-climate-risk-2025-06-26/
싱가포르 기업 단체, 중소형 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연기 요구
싱가포르비즈니스연합(SBF)은 상장 중소형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 공시 규제의 시행을 연기할 것을 당국에 요청했다. 연합은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기준을 충족할 자원이 부족하다며, 시가총액 10억 싱가포르달러(약 1조 654억원) 미만의 중소형 기업에 대해 규제 준수 기한을 1~2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BF는 3만2000곳 이상의 회원사를 거느린 단체로, 싱가포르 증시 상장 기업의 약 84%가 중소형 기업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싱가포르는 2025회계연도부터 모든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기준에 따른 기후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폴란드, 6년 만에 녹색국채 발행하나...녹색채권 프레임워크 개정
석탄 의존도가 높은 유럽연합(EU) 국가 중 하나인 폴란드가 6년 만의 녹색국채 발행 가능성에 대비해 녹색채권 프레임워크를 개정했다고 재무부가 26일 밝혔다. 폴란드는 지난 2019년 3월 이후 녹색국채를 발행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 1월 카롤 차르네츠키 재무부 국채 담당 국장은 올해 녹색국채를 발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힌 바 있으나, 구체적인 시기나 규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말레이시아, EUDR 대응위 설치…저위험국 지위 확보 총력
말레이시아 정부가 유럽연합(EU)의 산림전용방지법(EUDR)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위원회를 신설했다고 26일 자국 원자재부가 밝혔다.
위원회는 말레이시아가 EU의 산림전용 규제 체계 내에서 ‘저위험국’ 지위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공급망 추적 시스템 강화 등 제도적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EUDR은 오는 12월 말부터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