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ESG평가원, 네이버 주주환원정책에 ‘긍정적 +2’ 점수

  • 기자명 홍수인 기자
  • 입력 2023.05.11 16:21
  • 수정 2023.05.11 17:3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이버, 실적 호조로 향후 3년간 주주환원 방침 선제적 공표
현금배당 늘리고 자사주 소각…ESG평가는 B+로 여전히 부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홍수인 기자]  네이버가 현금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정책을 내놓은 데 대해 한국ESG평가원은 11일 ‘플러스 2’  평가점수를 발표했다. 

네이버는 지난 8일 1분기 호실적 발표를 계기로 항후 3개년 선제적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 2개년 평균 연결 잉여현금흐름(FCF)의 15∼30%를 3년 간 현금배당하고, 보유 중인 자사주 8% 가운데 3%를 3년 간 매년 1%씩 특별소각 하겠다는 내용이다.

<ESG경제>의 자매회사인 <한국ESG평가원>은 이날 평가보고서를 통해 “이번 결정이 지배구조(G) 부문의 ‘주주권리보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변수”라고 보고 '플러스2'  점수를 부여했다. 점수는 긍정적 요소는 5점 만점, 부정적 요소는 마이너스 5점 만점으로 매기는데 플러스2는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나타낸다. 이 점수는 ESG평가원이 분기별 100대 상장사 ESG 평가를 할 때 가산점으로 작용한다. 

네이버의  최근 분기별 실적 추이. 자료=네이버
네이버의  최근 분기별 실적 추이. 자료=네이버

호실적과 주주환원으로 주가 상승...주주행동주의 공격 여지는 상존 

네이버 1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23.6, 9.5% 증가해 시장 기대를 웃돌았다. 더욱이 호실적에 힘입어 3년 간 현금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한데 힘입어 주가는 발표 전인 4일 19만6,100원에서 발표 후인 9일 21만1,000원으로 7.6% 올랐다.

네이버가 지분 구성의 취약점으로 인해 주주행동주의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 선제적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한 것이라고 ESG평가원은 판단했다. 네이버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창업자 이해진 GIO가 3.72%에 불과한데다 미래에셋증권,신세계, DJ대한통운 등 주식교환을 통한 전략적 제휴주주도 7% 미만에 불과하다.

국민연금이 8.45%로 최대주주이며, 소액주주가 66% 이상인 가운데 48%넘게 외국인이다. 외부 공격에 취약한 주주 구성이다.

여기에 과거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 건 (검색엔진 조작),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등의 부정적 요인을 감안하면 금번 발표 수준을 넘어 이사회 교체와 감사 선출 요구 등 추가적 주주행동주의 요구가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네이버 ESG평가 등급

ESG 수준은 B+등급…업종 평균에 못미쳐

한국ESG평가원이 평가한 올해 1분기 네이버 ESG 종합등급은 B+로 지난해 A등급에서 한 단계 하락하였다. 환경(E)은 A등급이지만 사회(S)와 지배구조(G) 등급이 B+로 업종 평균에 못 미쳤다.

특히 작년 플랫폼 알고리즘 로직 조작 사실이 법원 판결로 확정되면서 적잖은 부정적 이슈로 떠올랐다. 사회 및 지배구조 부문의 뉴스평가 점수를 끌어내렸다. 한국 인터넷/IT 업종 최대기업이자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존재라는 위상을 감안할 때, 네이버의 ESG경영은 개선이 시급하다는 평가다.

지배구조(G) 부문 '주주권리보호' 가산점 받을 듯 

금번 네이버의 선제적 주주환원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지배구조(G) 부문의 ‘주주권리보호’ 항목에 가산점을 부여할 소지가 생겼다. 

이에 비해 과거 직원의 극단적 선택, 지역주민과의 소송 패소, 금융 플랫폼의 사업 위법성 논란, 플랫폼 알고리즘 조작 등 사건에서 보듯이 네이버의 ESG경영은 줄곧 후퇴 일로였다. 보고서를 작성한 허창협 선임연구위원은 “이번에 나온 ESG정책이 네이버 ESG 발전에 관해 진지한 성찰과 혁신의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는 의견을 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