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케빈 존슨 CEO 플라스틱 빨대 없애고 성과급 더 받아
애플과 디즈니 등도 동참...3월 주총에서 찬반투표 예정
재무적 성과나 주가와 상관없는 꼼수 보너스 라는 비판도 제기

[ESG경제=이신형기자] 미국 기업들이 임원 성과급에 ESG 성과를 반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20일 보도에 따르면 스타벅스의 케빈 존슨 CEO가 지난해 받은 보너스는 2000만 달러(약 239억원)에 달한다. 이중 일부는 플라스틱 빨대를 없애고 메탄 발생량을 줄인 것에 대한 보상이었다.
데이터 제공업체 센티에오(Sentieo)에 따르면 스타벅스뿐 아니라 애플과 디즈니 등도 2021년 성과급을 지급하면서 ESG 성과를 반영했다. 3월 주총에서는 이런 성과급 지급에 대한 주주들의 찬반투표가 실시될 예정이다.
상장기업 20%가 임원 보너스에 ESG 성과 반영
국제의결권 자문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의 지속가능투자 분야 자회사인 ISSE(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 ESG)에 따르면 지난해 성과급에 ESG 성과를 반영하는 기업이 러셀 3000지수 상장 기업의 20%로 2018년의 7% 보다 급증했다.
지난해 조직 내 인종다양성과 연계된 성과급 지급 기업은 11%로 2018년의 2.5% 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스타벅스 주총에서 투자들은 임원 보너스가 너무 많다며 보너스 지급안을 부결시켰다. 케빈 존슨에 지급할 5000만 달러에 달하는 보너스가 문제였다. 그러자 스타벅스는 성과급 체계를 개편하고 환경과 인권 등 ESG에 관한 성과 목표를 새로 도입했다.
따라서 케빈 존슨의 보너스 중 10%는 플라스틱 빨대 제거와 농업 분야 메탄 발생량 감축 성과와 연계된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9월 생분해성 빨대를 도입했고 올해부터 지속가능한 유제품 도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존슨의 보너스 중 또 다른 10%는 인종다양성 유지에 따라 지급 여부가 결정된다.
존슨은 모든 ESG 목표를 달성했고 지난해 2400만 달러의 보너스를 받았다. 2019년의 1920억 달러와 2020년의 1470억 달러보다 크게 늘어난 금액이다.
보너스 더 받으려는 꼼수인가? 반대하는 주주도 많아
임원 보너스가 ESG 성과와 연결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에 대해 주주들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약간의 책임을 다하고 거액의 보너스를 챙기는 것에 절망한다. 지난해 S&P500지수 상장 기업 중 주총에서 임원 보너스 지급안이 부결된 기업이 사상 최대치로 늘었다.
ESG 성과 연계 성과급 지급 체계는 기준 자체가 모호하다. 펀드매니저들은 특히 ESG 목표가 기존의 주가와 연계된 성과급 체계를 대체할 경우 올해처럼 주가가 요동을 쳐도 임원들은 안정적으로 보너스를 챙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리걸 앤 제네럴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Legal & General Investment Management America)의 존 호프너 스튜어드십 책임자는 “분명히 ESG와 연계된 성과급 체계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특히 장기 투자자에게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누버거버먼 자산운용의 카이트린 맥셰리 부사장은 성과급 체계에서 ESG 지표는 “신뢰하기 어려울 만큼 범위가 넓거나, 적어도 미국에서는 단기적인 프로그램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애플은 지난해 ESG 성과급 체계를 도입했다. ESG 목표를 도달하면 보너스를 10% 올려주는 내용이다. 하지만 애플은 지난해 영업실적 목표를 달성함에 따라 ESG 성과급은 추가로 지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ISS는 이달초 애플 주주들에게 팀 쿡 CEO와 다른 임원의 임금 지급안에 반대 투표를 하도록 권고했다.
디즈니는 인종 다양성을 ESG 목표로 도입했다. 인종 다양성 지표는 성과급 체계에서 비재무적 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애플은 이런 성과급 체계에 대한 FT의 질의에 답변을 피했고 스타벅스와 디즈니는 답변하지 않고 있다.
임금 관련 컨설팅업체 패리언트 어드바이저의 로빈 페라콘 대표는 기업들은 스타벅스처럼 정량적인 ESG 성과급 체계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며 ”부정확한 ESG 지표를 기준으로 보너스를 지급하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ESG 지표가 성과급을 정당화할 수 없다면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개입할 수도 있다"며 "지표의 '정량화'를 통해 오류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