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동해 석유가스 입증방법은 시추...성공률 20%는 높은 수준"

  • 기자명 김대우 기자
  • 입력 2024.06.07 14:42
  • 수정 2024.06.07 17:07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액트지오 아브레우 고문 기자회견…"석유가스 존재 암시 제반요소 갖춰"
35억∼140억배럴 추정..."기존 유정서 탄화수소 찾지못해 불확실성 존재"
"회사 주소지 자택 맞아...소규모 회사지만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가능"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가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가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분석을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Vitor Abreu) 고문은 7일 "우리가 도출한 유망구조의 석유와 가스의 잠재적인 존재를 판별해냈지만, 실제로 이를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은 시추하는 것"이라며 "이 프로젝트의 유망성은 상당히 높다"고 말했다.

이어 아브레우 고문은  "우리가 분석한 모든 유정이 석유와 가스의 존재를 암시하는 모든 제반 요소를 갖췄다"며 "성공률 '20%'는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액트지오 설립자이자 소유자인 아브레우 고문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석유공사가 주최한 기자회견에서 한국석유공사가 발주한 입찰에 참여해 기존에 석유공사가 시추공을 뚫어 확보한 '주작', '홍게', '방어' 유정 등의 각종 데이터 분석을 거친 결과, 7개 유망구조를 도출해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브레우 고문이 밝힌 '석유·가스의 존재를 암시하는 모든 제반 요소'는 저류층(모래), 덮개암(진흙), 기반암, 트랩 등 4가지로, 동해 심해에서 이를 확인했다는 것이다.

아브레우 고문은 "해당 유정에 트랩이 존재할 잠재력이 있고, 탄화수소가 누적돼 있을 잠재력이 있다는 뜻"이라며 "이런 유망성을 보고 이미 세계적인 석유 관련 회사들이 크게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7개 유망구조에 대한 마지막 단계인 리스크 평가와 매장량 분석 과정을 통해 총 35억∼140억배럴에 해당하는 탐사자원량을 추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탐사성공률 20%와 관련, 그는 "지난 20∼25년 사이 발견된 유정중 가장 매장량이 큰 가이아나 리자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이 16%였다"며 "우리가 분석한 (동해) 분지는 리자와 동일한 유형의 트랩 등 제반구조를 갖추고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오해하면 안 될 부분이 '20%의 성공가능성이 있다'는 말은 '80%의 실패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라며 "5개의 유망구조를 도출해 시추하면 1곳에서 석유를 찾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인데, 우리는 (동해 심해에서) 7개 유망구조를 도출했다"고 부연했다.

아브레우 고문은 기존 동해 유정탐사에서 탄화수소를 찾아내지 못한 점을 대표적인 리스크로 꼽았다. 7대 유망구조의 추정 매장량 최소치(36억배럴)와 최대치(140억배럴)의 격차가 큰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게 아브레우 고문의 설명이다.

아브레우 고문은 액트지오의 규모와 전문성에 대해 "회사 주소지가 저의 자택이 맞다"며 "액트지오는 컨설팅업체로, 우리 팀은 뉴질랜드, 브라질, 스위스 등 전 세계 각지에 흩어져 업무를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소규모 업체가 대규모 프로젝트의 분석을 담당하는 것은 이 산업 분야의 표준"이라며 "우리는 실제 시추를 담당하는 회사가 아니라 데이터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회사다. 한때 직원이 15명까지 늘어났던 적도 있는데, 지금은 14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석유공사 관계자는 "2023년 심해 종합평가를 위해 4개 업체에 대한 경쟁입찰을 시행했고, 기술 및 가격평가 결과 액트지오를 공정하게 선정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