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인덱스 분석…작년 여성임금 평균 7405만원, 남성 1억561만원
근속연수 대비 격차 더 커..."조직내 지위·보상체계 성별 불균형 여전"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업종 격차 커..."직급낮은 여성 많다는 방증"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를 달리고 있는 우리나라 남녀 임금격차가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성 평균임금이 남성의 70%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 대비 남녀간 임금 격차는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의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405만원으로 남성(1억561만원)의 70.1% 수준이었다. 2년 전인 2022년 66.9%, 2023년 68.6%로 꾸준히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지만 차이는 여전히 크다.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보면 남녀 격차는 이보다 더 컸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 11.9년의 77.3%지만, 연봉은 이보다 낮은 70.1% 수준이다. 리더스인덱스는 이에 대해 "대기업에서 여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26.4%로 낮고, 그중에서도 직급이 낮은 직원이 많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풀이했다.
업종별로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 등 분야에서 남녀 임금격차가 컸다. 상사업의 경우 여성 평균 근속연수는 11.3년으로 남성(10.1년)보다 오히려 길었지만, 평균 연봉은 7000만원으로 남성(1억1510만원)의 60.8%에 그쳤다.
증권업도 여성의 근속연수가 10.8년으로 남성(10.3년)을 앞섰지만, 연봉은 남성(1억5200만원)의 65%인 9900만원이었다. 보험업은 남녀 근속연수가 각각 13년과 13.1년으로 비슷했으나 여성의 연봉은 8800만원으로 남성(1억3100만원)의 67.5%였다.
운송업은 여성의 근속연수(9.5년)가 남성(10.2년)의 92.6% 수준인데 연봉은 6400만원으로 남성(9700만원)의 66.2%였다. 은행업도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15.4년, 여성 14.5년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연봉은 남성이 1억2800만원으로 여성(9700만원)보다 24.5% 많았다.
리더스인덱스는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며 "급여 측면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기회와 지위에서는 남성이 우위를 차지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韓, 남녀 임금격차 OECD 압도적 1위…日보다 더 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큰 나라로 자리잡고 있다.
한국은 2022년 기준 남녀 임금격차가 31.3%로 압도적 1위를 달렸다. 그 뒤로 이스라엘 (24.3%), 일본(22.1%), 미국(16.9%), 캐나다(16.7%)가 뒤를 이었다. OECD 회원국 평균 남녀임금 격차는 12%다. 회원국 중 가장 적은 임금격차를 보인 OECD 회원국은 벨기에(3.8%)다.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유리천장 지수(Glass-ceiling index)'에서도 한국은 2022년 기준 OECD 회원국 29개국 가운데 최하위인 29위에 자리했다. 평가가 시작된 2013년부터 11년 연속 최하위다.
OECD 회원국 기준 1위는 아이슬란드가 이름을 올렸다. 이어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가 뒤따르면서 북유럽 국가들은 유리천장 지수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코노미스트는 남녀 학력 차이, 여성의 노동참여율, 남녀 임금격차, 여성과 남성의 유급 육아휴직, 여성 임원비율, 여성의 의석수 등을 따져 매년 유리천장 지수를 산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