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음식물쓰레기, 하수찌꺼기, 가축분뇨 같은 유기성 폐자원 처리를 위한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및 운영관리 지침을 4월 30일 배포한다. 이번 지침은 사업 기획부터 준공 후 정산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해 행정절차 혼선을 줄이고, 공공·민간 모두 실무에 바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번 지침은 사업 초기 타당성 검토와 기본계획 수립부터 입지 선정, 환경영향평가, 설계·시공, 사용개시, 국고보조금 정산 등 단계별 절차를 안내해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던 행정 혼선과 지연을 해소를 목표로 한다.
또한 공정별 관리 방안과 운영관리, 법령에 따른 행정절차와 인허가 요건을 종합적으로 안내해, 현장 실무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환경부, 국제기구 협력체계 통합해 글로벌 협력망 구축 계획
환경부는 4월 2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64개국 주한 대사와 국제기구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한 외교공관 기후·환경 간담회’를 개최했다. 환경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그간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환경 분야 국제협력 창구를 통합하고, 각국의 다양한 여건을 반영한 세부 양자 논의체를 마련해 협력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향후 환경부는 국가별·지역별 맞춤형 논의체와 반기별 정례회의를 운영해, 환경 분야 국제협력의 효율성과 실질적 성과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간담회는 정례 협의체로 발전시켜 각국의 협력 요청사항을 상시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산림청, 산림복원 경험으로 글로벌 생물다양성 이행 강화
산림청이 25일 서울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아스트리드 슈마커 생물다양성협약(CBD) 사무총장과 만나, 산림생태계복원 이니셔티브(FERI) 등 국제협력 현황과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015년부터 추진된 산림생태계복원 이니셔티브는 개도국의 산림복원 역량 강화와 기술 지원을 통해 12개국에서 925헥타르의 산림을 복원하는 등 글로벌 생물다양성 목표 달성에 추진 중이다.
산림청은 전쟁 후 국내 산림 복원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M-GBF) 등 국제적 합의 이행에 기여하고 있다. 산림생태계복원 이니셔티브(FERI)는 개도국의 산림복원 계획 수립과 기술 협력, 역량 배양을 지원해 생물다양성협약 목표 달성을 뒷받침해 왔다.
아스트리드 슈마커 CBD 사무총장은 FERI가 콜롬비아, 캄보디아 등 12개국에서 총 925헥타르의 산림 복원 성과를 거둔 점을 높이 평가하며, 내년부터 시작되는 3차 사업(2026~2030년)에도 산림청의 지속적인 지원과 국제협력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