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1648억원…"성장 잠재력 중심 해외사업 재편 추진"
유럽·중동·아프리카 매출 3배이상 증가...중화권 흑자전환
아모레퍼시픽 영업이익 1177억원...해외사업서 120% 늘어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28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2%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1648억원으로 15.7% 증가했다. 순이익은 1400억원으로 43.2% 늘었다.
해외 사업 성장세에 힘입어 서구권의 매출 규모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데다 중화권 사업도 운영 효율화가 이뤄지면서 흑자 전환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영업이익은 117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2.0% 증가했다. 해외사업 영업이익이 696억원으로 120.5% 대폭 증가했고, 국내사업 영업이익은 494억원으로 0.6% 늘었다.
매출은 1조675억원으로 17.1% 증가했다. 국내 사업 매출이 5773억원으로 2.4% 증가했고, 해외사업 매출이 4730억원으로 40.5%나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순이익은 1190억원으로 48.5% 증가했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 관계자는 "라네즈와 헤라, 에스트라, 려, 일리윤, 라보에이치 등이 선전했다"며 "멀티브랜드샵(MBS)과 온라인 채널의 판매 호조도 지속해 이어졌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에 따르면 럭셔리 브랜드 부문에서는 설화수의 자음생라인 매출이 설 명절 연계 마케팅으로 견고하게 성장했고, 헤라는 신제품 '리플렉션 스킨 글로우 쿠션' 등을 출시하며 쿠션 카테고리 매출이 크게 늘었다.
라네즈는 '워터뱅크', '바운시 앤 펌' 라인의 신제품을 선보이며 스킨케어 매출이 증가했고, 라보에이치는 두피 강화 라인의 제품 다변화로 높은 성과를 냈다.
해외 사업은 서구권에서 주요 브랜드의 높은 성장세가 이어졌다. 미주 지역에서는 브랜드와 제품 포트폴리오가 다변화되고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가 더해지며 전체 매출이 79% 증가했다. 특히,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 매출은 3배 넘게 늘었다. 라네즈가 MBS 채널 협업 마케팅을 전개하고 로컬 기획상품을 운영하며 성장세를 주도했다.
중화권은 오프라인 채널 효율화로 전체 매출은 줄었지만, 플랫폼 거래 구조 개선 및 비용 절감 효과로 흑자 전환했다.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력 브랜드와 신규 육성 브랜드가 고르게 선전하며 매출이 53% 증가했다.
주요 자회사의 영업이익은 이니스프리가 47억원으로 133.8% 늘었고, 에뛰드(30억원)와 에스쁘아(3000만원)는 각각 40.8%, 84.8% 줄었다. 오설록도 17억원으로 7.7%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 관계자는 "각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브랜드 코어 강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며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사업 지형 재편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ESG등급 높을수록 사외이사 연봉 높다...100대 기업 평균 8276만원
- 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체인 메이시스 입점...럭셔리 뷰티시장 공략
- 아모레퍼시픽, 지난해 영업이익 2493억원...전년대비 64% 증가
- 아모레퍼시픽,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이니셔티브 참여
- 아모레퍼시픽 "연평균 매출성장률10%·2027년 영업이익률 12% 달성"
- 아모레퍼시픽그룹 " '23∼25년 배당, 별도 순이익의 50∼75%로 확대"
- KB금융·신한지주·현대차·KT·우리금융...ESG평가 'S‘ 등급 최우수
- 창립 80주년 아모레퍼시픽그룹...“뉴뷰티로 글로벌 15조 시대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