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책브리핑] 해수부, 해양 생물다양성 협약 2030년까지 연장

  • 기자명 주현준 기자
  • 입력 2025.04.30 10:2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28일 부산 BEXCO에서 아스트리드 쇼마커 생물다양성협약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제공=연합뉴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28일 부산 BEXCO에서 아스트리드 쇼마커 생물다양성협약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제공=연합뉴스

한국-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갱신

해앙수산부가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과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SOI)’ 지원 양해각서의 유효기간을 2030년까지 연장했다.

해양수산부는 4월 28일 부산 BEXCO에서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과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연장 서명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SOI는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과 해양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국제포럼, 연수, 워크숍 등으로 개도국과 군소 도서국의 해양 역량을 높이는 사업이다.

이번 양해각서 연장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SOI 사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며, 선진 해양국가로서 국제적 책임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자율운항선박 위한 민관 정책위원회 시동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첨단 디지털 선박 산업의 정책·제도 논의에 착수했다.

이번 회의는 자율운항선박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미래 해운물류 혁신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와 연계해 열렸으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기반의 자율운항선박 정책 방향, R&D 전략, 법 시행 후 주요 추진과제 등이 논의됐다.

정부는 자율운항선박의 기술개발과 상용화 촉진을 위해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연내 10년간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해운물류체계 전환, 전문인력 양성, 국내 제도 개편 등 중장기 전략을 추진해 국제표준 제정과 신시장 선점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