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매출 상위 100대기업 조사...총 1615조원, 3.9%↑
현대차·기아 201조8077억원, 삼성전자보다 44조2701억 많아
SK하이닉스 10.6조 늘며 증가폭 2위...상위 10위엔 못들어
LG엔솔 7.5조 줄어 감소폭 1위...LG화학, 삼성SDI도 큰폭 감소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 가운데 삼성전자가 158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조사돼 2년 연속 경제 기여액 1위를 차지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나란히 2~3위에 자리했다. 국내 100대 기업의 지난해 경제 기여액은 총 1600조원을 넘어섰다.
1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매출 상위 100곳을 대상으로(공기업·금융사 제외) 지난해 경제 기여액을 산출한 결과, 이들 기업의 경제 기여액은 총 1615조1783억원으로 전년(1554조9360억원) 대비 3.9% 증가했다.
경제 기여액은 기업이 경영 활동으로 창출한 경제적 가치의 총액으로, 협력사(거래대금)·임직원(급여 등)·정부(세금 등)·주주(배당 등)·채권자(이자)·사회(기부금) 등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이 지급한 비용의 합계를 말한다.
지난해 100대 기업 매출은 2122조4078억원으로 전년(1991조7804억원) 대비 6.6% 증가했다. 매출액이 늘면서 이해관계자에게 지급하는 경제 기여액도 늘어난 셈이다.
이해관계자별 경제 기여액은 사회 부문만 전년 대비 3.0% 줄었고, 나머지 부문은 모두 늘었다. 협력사 부문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1325조2996억원, 임직원 부문은 10.6% 늘어난 205조8918억원, 주주 부문은 9.8% 늘어난 31조563억원, 정부 부문은 65.8% 증가한 26조8627억원, 채권자 부문은 10.7% 늘어난 24조646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개별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1위였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경제 기여액은 157조5376억원으로 전년(147조1710억원) 대비 7.0% 늘었다. 100대 기업 전체 경제 기여액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9.5%에서 2024년 9.8%로 0.3%포인트 상승했다.
2, 3위는 현대차와 기아가 나란히 차지했다. 현대차의 경제 기여액은 115조2187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기아는 86조5890억원을 기록했다. 경제 기여액에에서 양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1%, 5.4% 였다. 양사의 합산 경제 기여액은 201조8077억원으로, 삼성전자보다 44조2701억원 많았다.
이어 LG전자(74조244억원), 현대모비스(52조1965억원), GS칼텍스(45조6535억원), SK에너지(41조2588억원), 포스코(38조8121억원), 삼성물산(38조4301억원), LG화학(37조8880억원)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부문에서 성과를 바탕으로 역대 최고의 성과를 내며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를 제친 SK하이닉스는 경제 기여액이 10조6596억원 늘어나 증가폭 2위를 기록했으나 경제 기여액 상위 10위에는 포함돼지 못했다.

지난해 경제 기여액 증가폭 1위는 기아(12조7023억원↑)다. 기아는 특히 협력사 관련 비용이 12조원가량 증가했다. 이어 SK하이닉스(10조6596억원↑), 삼성전자(10조3666억원↑), 현대건설(3조9470억원↑), 현대차(3조8289억원↑), LG디스플레이(3조4906억원↑), LG전자(2조4443억원↑) 등의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반면 경제 기여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LG에너지솔루션(7조5751억원↓)이다. 이어 LG화학(6조1728억원↓), 삼성SDI(5조2940억원↓), 현대모비스(3조2061억원↓), 현대제철(2조1495억원↓), 한화솔루션(1조4484억원↓) 등의 순으로 경제 기여액이 많이 줄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370조2414억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석유화학(312조5068억원), 자동차·부품(303조5398억원), 건설·건자재(123조3809억원), 조선·기계·설비(87조699억원), 철강(69조2186억원), 유통(68조5830억원) 등의 순이었다. 대다수 업종에서 경제 기여액이 증가했지만, 석유화학과 유통 등 2개 업종은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