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탄소배출량 및 태양광 발전량 등 정보 제공
중기 '기후경영서비스'... 탄소배출량 산정·에너지 관리 지원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경기도가 기후, 환경 및 에너지 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인 '경기기후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28일 서비스를 개시했다.
경기기후플랫폼(climate.gg.go.kr)은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고정밀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플랫폼이다.
플랫폼에는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등 공간정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기후재난 현황 및 위험지역 예측 등 데이터가 담겼다.
해당 데이터는 수요자에 따라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기업은 별도의 투자 없이도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후경영서비스'를 이용해 국제표준 기반의 탄소 회계, 에너지 경영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사업장 정보 등록만으로 데이터가 자동 입력돼 기업은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진단 보고서를 받아볼 수 있다. 또한 전력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해 가장 저렴한 전력 요금제를 추천 받는 등 전기요금 절감도 가능하다.

개인의 경우 거주지 주변이나 방문 예정지의 산사태·극한호우 등 위험등급 현황을 확인해 볼 수 있고, 폭염 대피장소 등을 숙지해 재난에 대비할 수도 있다.
공공기관은 공간정보를 활용해 산사태 취약지구를 지정해 재난대책 등을 수립할 수 있고 탄소흡수·배출 관리, 공간 기반의 태양광•탄소 정보 등을 이용해 탄소중립 목표 이행 추적 관리도 가능하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기후·에너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경기기후플랫폼은 앞으로 최적의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기후 종합진단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