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책브리핑] 정부 차세대전력망 추진단 첫 회의...ESS 대규모 추가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5.08.11 09:50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인니에 수주지원단 파견…탄소배출권 인정 촉구
산림청, 베트남 정부와 200만㏊ 규모 산림탄소축적 사업 협력

산업통상자원부 세종청사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 세종청사 (사진=연합뉴스)

정부 차세대전력망 추진단 첫 회의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 1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전력을 소비하는 배전망 단위에서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말한다.

정부는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을 활용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이 많은 지역의 소규모 전력망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대규모로 추가하고 AI 관리 기술까지 더해 특정 지역 안에서 생산된 전기가 그곳에서 쓰이게 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방식의 수급 균형을 도모할 계획이다.

추진단은 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한국전력 등 유관 기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 민관 협력 체제로 운영된다.

환경부, 인니에 수주지원단 파견…탄소배출권 인정 촉구

환경부가 인도네시아에 수주지원단을 파견, 한국기업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으로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환경부 녹색산업 수주지원단은 1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와 환경부가 참여하는 협력회의에서 한국중부발전이 추진하는 시보르빠 수력발전사업과 LX인터네셔널이 추진하는 하상 수력발전사업에 대한 탄소배출권 인정을 촉구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3월 외국기업을 포함한 기업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면 탄소배출권을 준다는 방침을 발표했으나 아직 제도가 미미해 실현은 지연되고 있다.

2060년 탄소중립이 목표인 인도네시아는 올해 1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 국제 탄소거래소를 공식 출범시켰다. 외국기업이 인도네시아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벌여 탄소배출권을 확보한 뒤 이를 거래소에서 팔아 수익을 얻을 길이 열린 것이다.

산림청, 베트남 정부와 200만㏊ 규모 산림탄소축적 사업 협력

산림청은 8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베트남 농업환경부와 '한-베트남 산림 협력 고위급 양자회의'를 열었다.

양국은 이날 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외산림탄소축적증진사업(REDD+)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협력 합의서(LOA)를 체결했다.

이와 함께 2027년 조성 예정인 국립새만금수목원 내 '맹그로브 생태관'에 필요한 수종 확보 방안과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를 통한 실질적인 산림협력 확대 방안도 논의했다.

REDD+는 개발도상국의 산림 전용과 황폐화를 방지해 산림을 보존하고 산림 탄소 축적을 늘려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사업이다. 산림청은 지난해 11월 베트남 내 REDD+ 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완료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2023년부터 라오스에서 REDD+ 사업을 150만㏊(헥타르)의 준국가 규모로 이행 중이며, 온두라스에서는 630만㏊의 국가 규모로 내년부터 본격 시작할 계획이다.

이번 합의서 체결을 계기로 베트남에서 200만㏊의 준국가 규모 사업으로 추진될 경우 REDD+ 사업을 통해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국제 감축 부문 목표인 3750만t의 13%(500만t)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