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고리1호기 해체 승인 후 첫 행사

낙동강 녹조경보 개선…수돗물 취수구 근처 조사해 당일 발령
낙동강 녹조 경보 체계가 개선된다. 아울러 가축분뇨의 하천 유입 차단 등을 포함한 녹조 종합대책도 연내 마련된다.
환경부는 낙동강 4개 지점(해평·강정고령·칠서·물금매리)에서 조류경보를 위해 물을 뜨는 지점을 수돗물 원수 취수구 50m 내로 조정하고, 물을 뜬 뒤 이를 분석해 경보를 낼 때까지의 기간을 평균 3.5일에서 당일로 앞당긴다고 19일 밝혔다.
이런 조처는 다른 강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환경부는 조류경보 발령 기준에 '조류독소'를 추가하는 방안도 계속 추진한다. 연내 관련 법 개정도 마무리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작년 6월부터 시범적으로 조류독소가 1ℓ당 10㎍(마이크로그램)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조류경보를 내리고 있다. 또한 녹조가 발생한 하천에서 조류독소가 에어로졸 형태로 공기 중 확산한다는 주장에 대해 환경단체와 공동 조사도 재차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나 식품의약품안전처 등과 협력해 녹조가 심한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에 대한 모니터링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그간 정부와 시민사회 녹조 조사 결과가 달라서 주민들 우려가 컸다"면서 "공기 중 조류독소 문제도 하반기 중 시료 채취 단계부터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환경단체와 전문가 등과 공동 조사를 위한 협의체를 만들어 논란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비점오염원이 남아 있는 한 4대강을 재자연화한다고 (녹조가)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연내 마련될 녹조 종합대책과 4대강 재자연화 방안은 별개로 발표될 예정이다.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고리1호기 해체 승인 후 첫 행사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오후 경북 경주 라한셀렉트에서 '2025 원전 해체 비즈니스 포럼'을 열고 국내 원전 해체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글로벌 경험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올해 포럼은 지난 6월 국내 첫 원전인 고리 1호기 해체 계획이 최종 승인된 후 처음 열리는 것으로, 한국 원전 해체 산업의 본격적인 출발점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번 포럼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등 관계자 350여명이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한전KPS 등이 원전 해체 산업 현황과 계획에 대해 발표했고, 원자력환경공단, 한수원 등이 원전 해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독일 누켐(NUKEM),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JAEA), 프랑스 프라마톰(Framatome) 등은 글로벌 원전 해체 경험을 공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