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뉴욕 연방은행, 금융기관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측정 수단 개발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1.09.26 21:21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금융당국, 금융기관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 공시 의무화 추진

 

미국 워싱턴의 미 연준. 사진=연준 홈페이지
미국 워싱턴의 미 연준. 사진=연준 홈페이지

[ESG경제=이신형기자] 미국 뉴욕 연방은행이 금융기관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를 측정하는 수단을 개발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를 통해 금융기관이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를 감당하기에 충분한 자본을 보유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뉴욕 연방은행은 지난 주말 발간된 보고서를 통해 미국 금융기관을 위한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위한 초기 단계의 방법론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연준이 금융기관과 금융시스템의 광범위한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를 점검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한 미국 최초의 보고서다.

다른 나라 중앙은행은 일찌감치 금융기관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를 측정하기 위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준비해 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금융기관이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준의 직접적인 권한이라고 강조해 왔다.

하지만 이런 리스크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연준의 권한 밖이라는 공화당의 비판 때문에 연준의 대응이 늦어졌다.

화석연료 생산 기업 익스포져 많은 금융기관 주의해야

보고서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화석연료 생산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 금융기관은 화석연료 기업의 디폴트 위험이 커지면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뉴욕 연방은행은 기후변화 위험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는 한편 화석연료 생산 기업에 대규모 여신을 제공한 일부 금융기관은 “경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보고서는 씨티그룹의 예를 들면서 이번 스트레스 테스트 방식을 적용할 경우 코로나 팩데믹 여파로 유가가 하락했던 2020년 건전성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730억 달러의 자본확충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씨티그룹 대변인은 이 보고서 내용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보고서는 이상기후가 금융기관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으나, 다음 단계에서는 이런 리스크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을 비롯한 미국의 금융당국은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가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산에 미칠 영향에 대한 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