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EU 중국 등 여전히 목표 설정 표류
한국도 9월 중 NDC 확정해 제출할 예정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오는 11월 브라질에서 열이는 제30차 유엔 기후협약당사국 총회를 앞두고 유엔이 세계 국가들에 새로운 기후 목표를 9월 중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다.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는 각국이 파리협정(2015) 이후 5년 단위로 설정·제출하는 온실가스 감축 청사진이다. 유엔은 오는 10월까지 각국 자료를 집계, 연말 종합보고서를 통해 목표의 실효성·실천가능성까지 전면 평가할 계획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3일 200여 개국에 “2035년까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강화해 9월 중 제출하라”는 공식 서한을 발송했다.
COP30은 전 세계 탈탄소 정책의 합의와 ‘국가별 이행 점검’이 동시에 이뤄지는 자리인 만큼, 각국이 실질적 온실가스 감축안을 제시해야 국제적 압박을 덜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하지만 미국, EU, 중국 등 대형 온실가스 배출국은 내부 이견·정책 혼선으로 제출이 늦어지고 있다. 중국은 ‘올가을 상향’만 거론했고, EU는 프랑스·폴란드 등 일부 회원국이 2040년 감축 목표 합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유엔은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43% 감축’, 2035년에는 ‘60% 이상 감축’이라는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파리협정 이후 각국이 제출한 목표로는 겨우 온도상승을 ‘2.1~2.8도’로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따라서 1.5도 목표 달성을 위해선 더욱 과감한 감축·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도 올해 9월 ‘2035년 NDC’ 확정 제출
한국 정부도 오는 9월 2035년 목표(NDC)를 UN에 제출할 예정이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산업계·시민사회·노동계·미래세대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공식 반영하고,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목표를 확정할 계획이다.
한국은 앞서 2021년에 ‘2030년까지 온실가스 2018년 대비 40% 감축’이라는 기존 목표를 상향한 바 있다. 하지만 그 뒤 이렇다 할 실행력을 정책으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전문가들은 2035년 NDC는 향후 10년 이상 국가 산업·에너지발전 전략, 신재생에너지 투자, 수출경쟁력까지 많은 분야를 좌우하는 핵심 기후정책이라고 강조한다. 전문가들은 COP30을 계기로 각국의 실질적인 이행 능력과 탈탄소 투자전략, 에너지전환 목표가에 대한 재점검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