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탄소중립설비 지원 무상할당 대기업 등으로 확대 검토
발전부문 유상할당 확대에 따른 비용 기후환경요금에 반영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시작되는 제4차 탄소 배출권 할당계획 기간 중 늘어나는 유상할당 수입을 탄소차액계약제도 운영 재원과 탈탄소 기술 개발 지원에 사용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 발전부문 유상할당 확대 전기요금 영향은?
- 배출권거래제 발전부문 유상할당 2030년까지 50%로 늘린다
- 4차 할당 이월 잉여배출권 예상보다 늘어날듯...BM계수 ’30년 20%
- 배출권 거래제-자발적 탄소시장 연계 가능성 시사
- "유상할당 100% 확대하면 年 9조 기후재원 추가 확보 가능"
- 정부,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기준 변경...비발전 유상할당 내년 상향
-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비율 80% 이하로”...이소영 의원 개정안 발의
- 환경부 “3차 배출권거래제 뼈아픈 실책...4차 할당량 대폭 감소 예상”
-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입 가속화”...한국 배출권 금융자산 되려면?
- ”탄소배출권 시장 예측 가능성 높여야“...환경부 공감
- "탄소누출업종 유상할당 전환, 4차 계획기간 내로 앞당겨야"
- 정부, 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 확정...여전히 갈길 먼 NDC 달성
- 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공급과잉 해소 효과 미흡“
- COP 30 추진 탄소가격제 연합 효과는?
- 배출권 거래제 외부 감축사업 승인 기준일 변경...유연성 기제 수정
- 4차 계획기간 시장안정화 예비분 8528만톤...계획보다 줄어
키워드
Tags #4차 배출권 할단계획 #유상할당 #무상할당 #발전부문 유상할당 비중 #탄소차액계약제도 #CCFD #EU 혁신기금 #탄소누출업종 무상할당 #김마루 #탄소배출권 거래제 #탄소배출권 가격 #탄소 계약가격 행사가격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