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개정 추진
잉여 배출권 고려해 4차 할당계획 수립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탄소배출권 시장을 활성화하려면 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련기사
- 배출권 위탁매매 하반기 시행…주식처럼 증권사 통해 거래
- "탄소배출권 연계 금융상품, 선물부터 시작→ETN‧ETF로 확대 해야"
- 기후변화에 무심할 수 없는 한은, 쓸 수 있는 신용정책 뭐가 있나
- "탄소누출업종 유상할당 전환, 4차 계획기간 내로 앞당겨야"
- 정부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담긴 기후정책 뜯어보니
- 정부, 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 확정...여전히 갈길 먼 NDC 달성
- 정부, 중소기업 탄소 크레딧 시장 개설 논의...공공 인증 하이브리드 시장
- 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공급과잉 해소 효과 미흡“
- 무상할당업체·금융사도 탄소배출권 경매 참여...이월제한 추가 확대
-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기업 중 10곳만 내부탄소가격 공시
- [COP29 결산] “내년 유엔 감독 탄소시장 개설”...국제탄소시장 기술지침 합의
- 한국 탄소배출권 과잉 공급 '25년에도 지속 전망
- 정부, 탄소배출권거래제 손 본다...NDC 달성 '빨간불' 고려
- 환경부, 국제 환경협력 강화 위해 국제협력관 신설
- 일본, ‘35 NDC 60%로 확정...’40년 재생에너지 50%
- EU 탄소배출권 가격 급등 전망...ETS2 도입 영향
- 韓 산업계가 배출권 거래제 약화 주도?..."상의·포스코·한경협 지목"
- 환경부 “3차 배출권거래제 뼈아픈 실책...4차 할당량 대폭 감소 예상”
- 11월부터 탄소 배출권 위탁거래...선물시장 내년 개설 목표
- 4차 할당 이월 잉여배출권 1억4000만톤 달할 듯...9월말 확정
- 유상할당 수입으로 탄소차액계약제도 운영...탈탄소 기술투자 지원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