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감축사업 신뢰성 제고 위해 실태조사 실시
배출권 차입 한도 확대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참여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유연성 기제를 도입하고 있다. 4차 계획기간 중에는 유연성 기제의 일부 내용이 수정된다.
관련기사
- 4차 배출권 계획기간 중 시장안정화 용도 예비분 1억300만톤
- COP 30 추진 탄소가격제 연합 효과는?
- GHG 프로토콜-ISO, 배출량 측정·보고 기준 공동 개발...배경은?
- 발전부문 유상할당 확대 전기요금 영향은?
- 국내 최초 파리협정 국제감축사업 성사...40만t NDC 달성에 활용
- 11월부터 탄소 배출권 위탁거래...선물시장 내년 개설 목표
- 4차 계획기간 배출허용총량, 3차 대비 16.8% 감소
- 배출권 시세조작 걸리면 최고 6배 벌금…시장안정화 조치 법제화
- 자발적 탄소시장 데이터 표준화 프로토콜 등장
- 유상할당 수입으로 탄소차액계약제도 운영...탈탄소 기술투자 지원
- 정부,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기준 변경...비발전 유상할당 내년 상향
- 4차 계획기간 시장안정화 예비분 8528만톤...계획보다 줄어
- 탄소 배출권 위탁 거래 개시...내년 ETF‧ETN 도입 추진
키워드
Tags #탄소배출권 거래제 4차 계획기간 #상쇄 배출권 #KOC #KCU #탄소 배출권 차입 한도 #탄소배출권 거래제 유연성 기제 #기후에너지환경부 #파리협정 6조 #상응조정 #국제감축사업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