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민간업체 ‘타고’, 서울시에 상생 협의체 제안…“공존 모델 필요”

  • 기자명 홍수인 기자
  • 입력 2025.09.25 15:1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1일 승객이 가득찬 한강버스 남산서울타워호(102호)에서 승객들이 갑판에 나와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서울시
지난 21일 승객이 가득찬 한강버스 남산서울타워호(102호)에서 승객들이 갑판에 나와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서울시

[ESG경제신문=홍수인 기자] 서울시가 오는 10월부터 한강 수상교통 시대를 열기 위해 추진 중인 ‘한강 리버버스’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선착장 인근의 교통 접근성 강화를 위한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가 대규모로 확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기존에 서울시와 정식 계약을 맺고 운영해온 민간 자전거 대여업체들이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그 중 ㈜타고는 최근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에 공문을 보내, “정당한 공개입찰을 통해 수억 원 규모의 자전거를 구입하고 임대료를 부담하며 시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현재와 같은 대규모 따릉이 공급은 사실상 민간사업자의 영업 기반을 붕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당초 보도자료(2024년 2월)에서 선착장별 15~30대 규모의 따릉이 배치를 발표했으나, 타고 측은 실제 현장에는 여의도·뚝섬 각 150대, 잠실·잠원·망원 각 80대 등 물량이 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타고 측은 1인용 자전거 이용률이 전무한 수준으로 급감해 막대한 매출 손실을 입고 있다고 호소했다.

타고 관계자는 “그러나 단순한 비판보다는 상생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 서울시의 리버버스 사업 취지에는 공감한다. 다만 공공이 민간의 생존권을 전면적으로 잠식하는 방식이 아니라, 공공·민간이 각자의 역할을 보완하며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협력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으로는 ▲리버버스 이용객 중심의 한정적 범위에서 공공자전거 공급 조정 ▲민간 대여소와 공공대여소의 적정 거리 확보 ▲차별화된 서비스(다인승 자전거) 운영에 대한 제도적 지원 등의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