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금융권 ESG 투자는 ‘가랑비’...주식 투자 중 1.3% 수준

  • 기자명 김민정 기자
  • 입력 2021.10.22 21:46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탈석탄 선언' 금융권, ESG 관련 주식 투자는 1.3% 펀드 설정 0.3%에 그쳐
유동수 의원 "금융당국 녹색금융 모범 규준과 기후리스크 관리지침서 완료해야"
"화석연료 사업 공적 금융 투자 높다" 비판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은 21일, 국내 금융권이 여전히 ESG 투자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진=픽사베이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은 21일, 국내 금융권이 여전히 ESG 투자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진=픽사베이

[ESG경제=김민정 기자] 국내 금융권이 '탈석탄 금융'을 선언하고 각 금융그룹의 금융지주 차원에서 ESG 경영구조를 갖춰가고 있지만, 여전히 ESG 투자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유동수 의원이 21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금융사의 ESG 직접 투자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식의 경우 2조6000억원, 채권의 경우 67조70000억원 수준으로 은행과 보험, 증권 기준 전체 자산 규모인 5588조7000억원의 1.3% 수준에 불과한 수준이다. ESG 펀드설정 현황도 2조원 수준에 그쳐 전체 펀드 설정 규모인 753조8000원의 단 0.3% 수준에 그쳤다.

유동수 의원은 금융사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해 “아직 기후변화 이행 리스크에 대한 건전성 규제나 감독체계가 마련되지 못한 것이 큰 이유”라며,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금융당국이 탄소중립에 대한 금융권 유인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녹색금융 모범 규준과 기후리스크 관리지침서를 조속히 완료해 금융권을 넘어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당부했다.

유 의원의 발언은 국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이 또 다른 규제로 변질되지 않고 기업이 기후변화로 인한 경영상 불확실성을 관리할 수 있는 지원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탈석탄 선언한 금융지주들, 제각기 ESG 경영 선언

국내 주요 금융지주들은 올 들어 각자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관련 채권 발행을 중단하고, ESG 펀드를 출시하는 등 ESG 경영 내재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은 ESG경영 중장기 로드맵으로 'KB 그린웨이 2030'을 수립했으며, 2030년까지 KB금융그룹의 탄소배출량을 2017년 대비 25% 감축하고 현재 약 20조원 규모인 ESG 상품·투자·대출을 50조원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신한금융그룹(회장 조용병)은 금융의 선한 영향력을 의미하는 '파이낸스 포 임팩트(Finance for Impact)'를 그룹 ESG 추진 원칙으로 내세웠다. 또 지난해에는 친환경 전용상품(카드 포함)과 보증 대출 5546억원, 친환경인프라 PF 7697억원 신규 지원, 친환경 투자 1조2500억원 신규 지원 등 녹색 투·융자 복합금융 지원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그룹(회장 손태승)은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PF를 중단하고 기존 대출건은 회수하고 있다. 반면 수소연료전지,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를 금융주선하고 투자를 확대하는 등 재생발전PF를 중점 추진할 예정을 발표했다.

우리은행은 2019년부터 약 9500억원 규모 원화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다. 지난 1월에는 5억5000만달러(약 6000억원) 규모 외화 ESG 선순위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2019년 6억달러 규모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고 지난해 5000만달러 규모 소셜본드를 발행했다. 올해 5월에는 시중은행 최초로 3자 인증을 받은 그린론(Green Loan)으로 풍력발전개발 지원을 주도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ESG 금융상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 실질적인 금융권의 ESG 경영 노력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유 의원은 “지난 4월 정부는 신규 석탄 화력발전 사업에 대한 공적금융 제공 중단을 선언했으나 여전히 석유 및 천연가스 등 다른 화석연료 사업에 대한 공적금융 투자가 높다”며 “우리 공적금융기관은 화석연료 투자를 계속 줄여 정부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 기조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