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기업, 탄소중립 비전 선포…"2050년 석탄발전 전면중단" 공동선언
대규모 재생 에너지 사업 주도, 기술 공동개발·투자 늘릴 계획
세계 각국, 탈석탄 정책 속속 발표

[ESG경제=김민정 기자] 국내 석탄화력 발전 공기업들이 석탄발전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선언해 '2050 탄소중립'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한전과 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은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 2021'(BIXPO 2021) 개막식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공동으로 선언했다.
또한 대규모 해상풍력, 차세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탄소중립 비전인 '제로 포 그린(ZERO for Green)'을 발표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주도
전력공기업은 재생에너지, 수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과감히 전환해 발전 분야 탄소배출을 '제로'(0)화하기로 했다. 공정하고 질서 있는 감축 방안을 마련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민간기업 참여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이나 차세대 태양광 등 자본·기술집약적 사업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암모니아, 그린수소 등 수소 기반 발전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전력공기업은 공동의 기술개발 전략과 이행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 터빈 대형화 및 대규모 단지 시공 기술 등을 개발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의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현행 대비 40% 이상 절감한 ㎾h당 150원으로 낮추기로 했고, 또한 수전해 기술을 중점 개발해 그린수소의 생산 효율을 현재의 65%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료 전환을 위해선 2027년까지 20% 암모니아 혼소를 실증하고 2028년까지 50% 수소 혼소 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2030년까지 석탄화력 500㎿, 가스화력 150㎿급으로 상용화해 포집 비용을 현재의 50% 수준인 t(톤)당 30달러까지 낮춘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일본 등 석탄화력 비중 단계적 축소 목표 수립

세계적으로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0년 상반기에 발표된 KEA에너지 이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 설비는 설비 18.3GW가 증설되고, 21.2GW가 폐쇄돼 역대 처음으로 석탄화력 설비용량이 2.9GW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19년 연간 에너지 소비 통계에서 미국의 재생에너지 소비가 1885년 이래 처음으로 석탄 소비를 역전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2019년 석탄 소비는 2억 8097만toe로 전년대비 약 15%가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소비는 2억 8475만toe로 전년대비 약 1%가 증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석탄, 천연가스 및 원자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는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36%는 천연가스, 석탄이 13%, 원자력이 12% 순으로 그 뒤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2019년 석탄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발전용·산업용 석탄 수요가 모두 감소했다. 2018년 대비 5% 줄어든 1억 1715만toe 정도였다. 또 일본은 노후된 석탄화력 발전소 약 100기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가동 중단 및 폐지를 추진한다. 석탄발전소의 가동 중단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 22~24%까지 상향 목표를 잡았다.
중국은 2016년에 발표한 전력부문 계획에서 1차 에너지 중 석탄 비중 축소 목표인 55% 이하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국가 에너지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석탄발전설비 20GW를 퇴출시킴으로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석탄 소비가 2022년 이후 정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67%에서 2024년 59%로 낮아질 전망이다. 석탄수요 역시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인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탈석탄 정책 잇따르는 EU

EU에서도 탈석탄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비영리 탄소시장 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 역시 풍력과 태양광 발전용량이 크게 늘어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석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독일은 탈석탄 공론화 위원회 권고를 정부가 받아들여 2020년 7월 탈석탄법을 통과시키고 2038년까지 탈석탄 및 2035년 조기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지난 20년 간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제를 수립한 결과, 2018년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2010년 대비 5.9배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와 함께 2025년 탈석탄을 목표로 석탄발전소 전면 폐쇄를 계획하고 있다. 탈석탄에 따른 부족한 발전용량을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대체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30GW의 해상풍력 설비를 확충한다.
네덜란드는 2018년 6월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49% 감축한다고 밝혔으며, 2050년까지 95%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담은 최초의 국가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또 기후변화 법에 따라 노후 석탄발전소 2기를 2024년에 철거하고, 신규 발전소 3기를 2030년까지 대체연료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지난해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전체 65개(건설 중 7개 포함)의 석탄발전소 중 2034년까지 30개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이 중 24개를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