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녹색 채권, 믿고 투자해도 되나?...발행 열풍 속 발행처 자격 논란

  • 기자명 이진원 기자
  • 입력 2021.12.03 14:38
  • 수정 2021.12.03 15:41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SG 경영 열풍 속 녹색 채권 발행 열풍...연말 발행 규모 1조 달러 도달 전망
하지만 조달 비용 낮추기 위한 녹색 채권 위장 발행 의혹 커지는 중
녹색 채권으로 포장 발행 시 '프리미엄' 인정 받아 조달 비용 낮출 수 있어
인권 문제 심각한 중국 기업들이 녹색 채권 최대 발행
각국 규제당국, 녹색 채권 진위성 따져보기 시작

녹색 채권이 진위성 논란에 휘말렸다. 사진 = 픽사베이 제공 
녹색 채권이 진위성 논란에 휘말렸다. 사진 = 픽사베이 제공 

[ESG경제=이진원 기자] ESG 경영 열풍 속에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 자금 조달 목적으로 녹색 채권(green bond)을 발행하는 기업과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녹색 채권의 ‘진위성(authenticity)’을 둘러싼 의혹이 커지고 있다고 최근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즈(FT)>지가 보도했다.

다시 말해, 녹색 채권을 발행할 자격이 안 되는 기업이나 국가가 단지 조달 비용만을 낮추기 위해 발행 채권을 녹색 채권인 양 위장해서 발행하며 이득을 취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녹색 채권 발행 러시 속 발행 시장과 규모 커져 

ESG 채권은 크게 녹색 채권, 사회적 채권 (Social Bond), 지속가능채권 (Sustainable Bond)으로 나뉘는데, 90%가 녹색 채권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올해 9월 30일 현재 전 세계 녹색 채권 발행 규모는 8,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연말까지 1조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최근 들어서인 지난 11월에는 제약회사 테바(Teva)가 녹색 채권 발행을 통해 사상 최대인 50억 달러 조달에 성공했고, 이보다 한 달 전에는 일본의 통신사 NTT가 역시 녹색 채권을 발행해 지금까지 조달한 금액 중 최대 수준에 속하는 27억 달러를 끌어 모았다.

발행 자격이 안 되는 곳이 녹색 채권 발행? 

하지만 녹색 채권 시장이 이처럼 성장하자 이 채권의 발행처의 자격을 둘러싼 의문이 커지고 있다는 게 FT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환경 오염 정도가 심각하고 인권 보호 수준은 낮은 중국의 기업들이 녹색채권 최대 발행 기업이라는 것이다. 

FT는 ESG 원칙이 엄격하지 않은 점도 녹색 채권의 진위성에 회의적 시각을 갖게 만드는 문제일 수 있다면서, 그 사례로 연초 미국계 투자은행인 JP모건이 사설 교도소 산업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밝힌 지 2년 만에 사설 교도소 운영회사인 코어시빅(CoreCivic)가 발행한 녹색 채권에 투자한 사례를 거론했다.

이 밖에도 투자자들은 브라질 육류 회사인 JBS가 발행한 녹색 채권 투자를 권유받았는데, JBS는 다름 아닌 삼림 벌채와 열악한 노동 기준 때문에 비난을 받은 회사다.

ESG 채권 투자 신중한 결정 필요...인권 논란 국가 투자에 주의해야  

따라서 전문가들은 자산운용사들은 어떤 ESG 채권에 투자할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프랑스 투자회사인 미로바(Mirova)의 채권 포트폴리오 운용역인 베르트랑 로셰는 "녹색 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이 정말 친환경 사업에 쓰이는지 여부를 발행사가 아니라 우리가 직접 결정한다"고 말했다.

녹색 채권의 진위성 여부와 관련해서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운용사들이 인권 문제로 논란이 많은 나라가 발행한 녹색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 펀드 매니저들은 인권 문제 감시를 전문으로 하는 투명성국제프리덤하우스(Transparency International and Freedom House) 같은 NGO들의 도움을 받고 있다.

점점 더 높아지는 독일 국채 '분투'의 녹색 프리미엄 (녹색 채권과 일반 채권 사이의 수익률 격차, 단위: %p), 자료=파이낸셜 타임즈 
점점 더 높아지는 독일 국채 '분투'의 녹색 프리미엄 (녹색 채권과 일반 채권 사이의 수익률 격차, 단위: %p), 자료=파이낸셜 타임즈 

규제당국도 녹색 채권 진위성 확인 준비 

각국 규제당국도 녹색 채권의 진위성을 따져보기 시작했다.

가령 영국의 금융행동감독청(FCA)은 지난달 펀드매니저들이 ESG 투자 등과 관련해서 공시해야 할 자료를 발표했다.

이뿐만 아니라 스위스의 금융시장 감독청(Finma))은 이른바 위장환경주의라고 불리는 ‘그린워싱’으로부터 펀드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 감독청은 "상품과 금융서비스의 지속가능성 주장과 관련해 투자자들이 속지 않도록 하는 게 지침 발표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기업과 국가들은 발행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발행 채권을 녹색 채권으로 포장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보고 있다. 

최근 ESG 경영 열풍 속에서 녹색 채권 수요가 늘어나자 녹색 채권 가격이 일반 채권에 비해 올라감으로써 발행사들 입장에서는 조금이나마 낮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됐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