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EU 소비 석유와 석탄의 40%, 가스의 20% 각각 공급 중
러 우크라 침공 후 에너지 가격 급등하자 유럽 소비자들 피해 커져

[ESG경제=이진원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서유럽 지역에서는 화석연료 사용을 더 빨리 줄이고, 청정에너지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일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러 제재 차원에서 독일은 러시아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는 노드스트림2(Nord Stream 2) 사업을 즉각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유럽 내 인플레 압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 가격이 더욱 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필요성은 더욱 설득력을 얻는 모습니다.

노드스트림은 러시아에서 독일로 직접 이어지는 천연가스 수송관을 의미한다. 2011년 노드스트림1을 완료해 운영을 시작했고, 2018년에 착공한 노드스트림2는 지난해 완공해 승인을 앞둔 상황이다.
미국은 러시아의 대유럽 영향력이 커진다는 이유로 이 프로젝트를 반대했다.
한 분석가는 영국의 인디펜덴트지에 “이번 사태로 기후를 변화시키는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 청정 에너지로 빠르게 전환하는 ‘탈탄소화’ 를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요 석유와 석탄, 가스 수출국인 러시아의 영향력 막강해
24일(현지시간) 런던시장에서 국제유가 지표인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가격이 2014년 9월 이후 7년 5개월 만에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했다. 가스 익일 인도분 가격 역시 40% 치솟았다.
이와 같은 에너지 가격 상승은 난방유와 자동차 휘발유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가뜩이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버거워진 유럽인들의 일상 생활이 더욱 팍팍해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러시아 침공 직후 대러 1차 경제 제재를 발표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러시아의 석유와 가스에 대한 의존을 낮춰야 한다”면서 “그러한 의존 때문에 푸틴이 너무 오랫동안 서양 국가들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현재 유럽연합(EU)에서 소비하는 석유와 석탄의 40%, 가스의 20%를 각각 공급하고 있다.
전문가들 "청정 에너지 사용 늘려야"
전문가들은 유럽 지역이 중장기적으로 가스와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춰야 러시아와 연관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질 때마다 생기는 에너지 가격 상승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법으로 제시되는 청정에너지 전환에는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아울러 원자력 발전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상황이다.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유럽연합(EU) 택소노미(녹색산업 분류체계)에 원자력 발전을 포함시키는 논의가 더욱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그랜텀 연구소의 에너지 정책 전문가인 제프 하디 박사는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에 대한 제제로 시장에 수급 불균형이 초래되며 소비자 부담이 커질 것”이라면서 “따라서 에너지 믹스(energy mix)에 기여하는 재생 에너지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분명 우리가 현재 목격하고 있는 이번 위기로 가스 가격이 추가로 상승했고, 제재가 유지되는 한 러시아로부터의 가스 공급은 더욱 빡빡해질 것”이라면서 “가스와 화석 연료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인식이 더욱 고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랜텀 연구소의 또 다른 연구원인 자스민 쿠퍼 박사는 "영국은 화석 연료 에너지를 다양한 곳에서 얻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에너지 안보가 잘 되어 있으나 동유럽 일부 국가들은 천연가스를 모두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안보에 취약성을 노출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