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주도한 시민단체 출신 탄중위 위원들도 동반 사퇴할지 관심
윤 정부, NDC 40% 목표 계승하되 원전 포함한 에너지 믹스 정책 변화

[ESG경제=김도산 기자] 윤석열 정부의 출범을 맞아 ‘2050 탄소중립녹생성장위원회(탄중위)’가 전문 개편될 전망이다.
28일 탄중위에 따르면 윤진순(55) 탄중위 위원장이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했다. 윤 위원장은 대표적인 탈(脫)원전 인사로 탄중위의 초대 위원장을 맡아 원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늘리는 방향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해 왔다.
윤 위원장이 자신 사퇴함에 따라 새 정부는 원전 가동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에너지정책과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수정하는 한편 탄중위 인적 구성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정부의 탄중위는 에너지와 탈탄소 전문가 보다는 환경·시민단체 출신의 탈원전 성향의 인물들이 너무 많이 포진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난해 5월 취임한 윤 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아직 채 절반이 지나지 않았다. 탄중위 안팎에서는 윤 위원장이 사의를 표명했지만, 새 정부가 출범하는 5월 10일 이후 새 위원장이 임명될 때까지는 자리를 지킬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시민단체 출신 탄중위 위원들 중에서 자진 사퇴하지 않고 탈원전 정책 폐기에 저항할 생각을 갖고 있는 인물도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져 진통이 예상된다.
윤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맞춘 탄소중립 정책의 전도사 역할을 해왔다. 현재 25~30% 수준인 원전의 비중을 2030년 18%, 2050년 6~7%수준까지 낮추고 그 공백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채우는 정책을 주도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가량 줄이겠다는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를 제시해 25일 시행에 들어간 탄소중립법에 담도로구했다.
윤 정부도 NDC 40%는 계승하기로 약속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NDC 40% 목표는 국제사회와의 약속인 만큼 문 정부 정책을 계승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원전을 기저 발전원으로 계속 유지하는 방식으로 NDC 목표 달성 방안을 마련 중이다. 현재 원전 등 에너지 전문가가 부재한 탄중위 인사 구성도 대폭 바꿀 것으로 전망된다.
새 정부가 기존의 원전 비중 20~30%로 유지하면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게 되면 2030년 NCD에 이어 2050 탄소중립의 실현도 한결 수월해질 것이라고 인수위원회 관계자는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