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산림벌채 기업, 대출이나 투자 받기 힘들어진다

  • 기자명 김도산 기자
  • 입력 2021.02.21 16:16
  • 수정 2021.02.21 16:1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NP파리바, “브라질에서 산림벌채 ‘제로’ 약속한 기업에만 금융서비스 제공”

국내 한 산림벌채의 현장.
국내 한 산림벌채의 현장.

[ESG경제=김도산 기자] 프랑스의 다국적 금융그룹인 BNP파리바는 삼림벌채 관련 기업들에 대해 금융서비스를 제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산림벌채에 대한 세부 금융 제한 방안을 마련했으며, 브라질을 우선 적용한다. 

산림벌채는 해당 산림에 사는 생물의 서식지를 없애 생물다양성을 파괴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도 산림훼손으로 박쥐 서식지와 인간 주거지가 너무 가까워지면서 발생한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BNP파리바는 강화된 정책에 따라 우선 브라질 아마존과 세라도(Cerrado) 지역을 타겟으로 삼았다. 이 곳에서 소고기와 콩 등을 재배하는 생산자, 무역업자들은 늦어도 2025년까지 생산지와 공급망에서 삼림벌채를 제로화(0)하다는 계획을 제시해야만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대상 지역은 앞으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산림벌채가 심한 지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해당 국가들은 주권과 산업정책에 대한 선진국 금융자본의 과도한 개입이라고 반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BNP파리바가 제시한 조건과 원칙은 다음과 같다.

➀아마존에서 2008년 이후 개간한 땅에서 소고기나 콩을 생산하거나 거래하는 고객에게는 대출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➁세라도에서 2020년 이후 개간한 땅에서 고객들이 소고기와 콩을 생산하거나 거래하지 않도록 권장한다.

➂고객들에게 2025년까지 소고기와 콩의 생산과 거래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그 경로를 완전히 추적할 수 있는 장치를 요구한다.

➃축산농가 고객들이 동물 복지를 더 고려하는 방향으로 축산농법을 변경하도록 권장한다.

 

금융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고객에게 산림벌채 제로화 약속을 요구하고 벌채에 대한 까다로운 추적 기준을 부여한 것은 글로벌 금융그룹 중 BNP파리바가 처음이다.

이와 관련, 앙트완 사이어 BNP파리바 사회공헌팀 책임자는 "우리의 정책을 시작으로 생물다양성 보호에 실질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조만간 다른 글로벌 금융기관들도 유사한 정책을 시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언스(Science) 학술지에 지난해 발표된 '브라질 농업의 썩은 사과(The Rotten apples of Brazil’s Agriculture)'라는 논문은 아마존과 세라도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소고기와 콩이 불법 삼림벌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예컨대 유럽이 브라질로부터 수입하는 콩의 규모는 연간 1360만톤(유럽 콩 수입량의 41%)인데, 이 중 69%가 아마존과 세라도에서 생산되며, 이를 위해 산림벌채가 심각하게 진행된다는 것이다.

결국 유럽은 소고기와 콩의 막대한 수입으로 브라질의 산림벌채를 간접 유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BNP파리바의 새로운 정책이 경각심과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유럽 금융계는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