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국 대기업 CEO와 직원 임금 격차 '440대 1'로 확대...ESG경영에 역행 지적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2.06.10 14:04
  • 수정 2022.06.16 08:3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EO 연봉 평균 1060만 달러 vs. 평직원 연봉 평균 2.4만 달러
임금 격차 해소 정책 도입에 공화당 지지자 63%, 민주당 지지자 75% 찬성
과도한 CEO 임금에 대한 과세 및 자사주 매입 제한이나 과세 등 거론돼

AP통신과 에퀼라(Equilar)의 공동 조사 결과 S&P500 지수 상장 기업 CEO 중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10명의 CEO. 상단 왼쪽부터 서비스 나우의 빌 맥더모트, GM의 메리 바라, 애플의 팀 쿡, 나스닥의 아데나 프리드먼,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의 데이비드 자슬라브. 하반 왼쪽부터 노스럽그루먼의 캐시 워든,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AMD의 리사 수,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피비 노바코비치, 익스페디아 그룹의 피터 컨. AP=연합
AP통신과 에퀼라(Equilar)의 공동 조사 결과 S&P500 지수 상장 기업 CEO 중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10명의 CEO. 상단 왼쪽부터 서비스 나우의 빌 맥더모트, GM의 메리 바라, 애플의 팀 쿡, 나스닥의 아데나 프리드먼,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의 데이비드 자슬라브. 하반 왼쪽부터 노스럽그루먼의 캐시 워든,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AMD의 리사 수,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피비 노바코비치, 익스페디아 그룹의 피터 컨. AP=연합

[ESG경제=이신형기자] 미국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직원 간 임금 격차가 지난해 더 벌어져 사상 최대로 커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 IPS(Institutue for Policy Studies)의 6일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300개 상장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CEO의 평균 임금과 직원 평균 임금의 격차가 440대 1로, 2020년의 400대 1 선이었던 것보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49개 기업의 임금 격차는 1000대 1을 넘어서는 것으로 파악됐다.

글래스 루이스 등 의결권자문회사와 일부 자산운용사들은 과도한 CEO보수 지급이 ESG경영에 역행한다며 주총의 CEO보수 안건에 반대 캠패인을 벌이고 있지만, 대부분 미국 기업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해 300개 기업의 CEO 연간 임금은 평균 1060만 달러(약 134억원)로 전년대비 250만 달러(30%)나 인상됐다. 반면에 직원 임금의 중간값은 2만3968 달러(약 3033만원)로 3556 달러(14%) 인상에 그쳤다.

조사 대상 기업 중 106개 기업의 직원 임금은 물가상승률보다도 낮은 인상률을 보였고, 이들 기업의 임금 격자는 무려 670대 1에 달했다. 이중 67개 기업은 437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이들 기업의 자사주 매입은 주가와 연계된 CEO 임금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CEO가 주가와 연계된 성과급을 받기 위해 회삿돈으로 자사주를 사들이는 방식으로 주가 부양에 나섰다는 얘기다.

특히 전자제품 유통회사인 로에스(Lowe’s)는 자사주 매입에 가장 많은 130억 달러를 지출했다. 보고서는 “130억 달러면 32만5000명의 직원 임금을 4만 달러씩 올려줄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회사의 콜센터와 물류센터 근무 직원을 포함한 필수인력은 최저 임금을 받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IPS 사라 앤더슨과 샘 피지가티 연구원은 “팬데믹 기간 중 저임금 필수인력의 영웅적인 희생이 기업을 지켰다"며 "이들이 평등한 임금 체계의 혜택을 보기를 희망한다”고 썼다.

이들은 또 “인플레이션이 대다수 미국 근로자의 실질 소득을 감소시킨 상황에서도 경영진에 대한 보상은 더욱 강화됐다”고 지적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약 40%는 미국 연방기관과 계약한 정부조달 사업자(federal contractor)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규모는 372억 달러에 달했다.

이들 119개 연방기관 계약 업체의 CEO와 직원 임금은 571대 1의 격차를 보였다. 6개 업체는 100대 1 미만의 격차를 보였다.

보고서는 이같은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정부가 나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견해가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공화당 지지자의 약 63%와 민주당 지지자의 75%가 근로자 임금과 연동된 CEO 임금 상한선을 정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유 시장경제를 신봉하는 미국이 CEO 임금의 한도를 정해 절대 이를 초과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를 도입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과도한 CEO 임금에 대한 과세와 자사주 매입 제한이나 자사주 매입에 대한 과세 등이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