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포스코 사내 성폭력 사태, “ESG 사회부문 큰 감점 요인”

  • 기자명 김민정 기자
  • 입력 2022.07.08 01:57
  • 수정 2022.07.10 01:5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에 걸친 성폭행, 소극적 대응한 조직 문화 우려
ESG 종합등급 A+, 사회부문 평가 점수 하락 불가피

포스코가 사내 성폭행 사건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사진=포스코
포스코가 사내 성폭행 사건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사진=포스코

[ESG경제=김민정 기자] 한국ESG평가원은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최근 발생한 사내 성폭력 사태와 관련, ESG평가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중대 사안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해당 이슈는 지난 6월 7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소속 여직원이 상사 3명을 성추행 혐의로, 1명을 특수유사강간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사건이다. 여직원은 지난해 12월 부서 상사 1명을 성희롱 가해자로 포스코 감사부서에 신고했고, 당시 가해자는 감봉 3개월 징계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징계 이후 피해자 여직원은 더욱 곤혹스러운 일을 겪었고, 같은 부서 동료들에게 3년 넘게 지속적인 성폭력을 당했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을 결심을 할 정도로 고통스럽다고 호소했다.

‘2차 피해 무시’ 조직문화가 문제

사건은 아직 경찰 수사 중임에도 포스코는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한편, 관리 책임이 있는 임원 6명에 대한 중징계를 내렸다. 지난 7월 1일 인사위원회에서는 관련자 4명 모두 징계면직 처분을 내렸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사진=연합뉴스

고용노동부는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여부에 대한 직권조사를 실시했다. 남녀고용평등법 14조에 따라 ①성희롱 사안의 지체 없는 조사 의무 ②조사과정 피해자 보호조치 의무 ③사실 확인후 행위자 징계조치 의무 ④피해자에 대한 2차 피해 방지 의무 등을 수행하였는지 직권조사한 뒤, 사업주에 대한 형사입건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국ESG평가원은 이번 사건을 일부 직원 개인의 일탈 행위를 넘어 "포스코의 피해자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점을 통해 드러난 조직문화의 문제점을 우려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포스코는 과거에도 성희롱 관련 피해가 신고된 경우, 피해자를 가해자와 2개월 이상 같이 근무하게 하면서 사건을 무마하려 유도한 사례가 드러났다. 이번 사건에서도 6월 23일 포항제철소 부소장 등이 사과를 핑계로 여직원 집을 방문하여 무마를 시도하는 등 피해 사실을 무시하는 듯한 조직문화를 표출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 포스코는 뒤늦게 강경한 대응에 나섰다. 사내 성윤리 위반 사안 발생시 ①법률 ·심리상담 전문가 지원 ②외부전문기관 성윤리 조직 진단 ③소수 직원 독립근무 장소, 외부전문가 진단 및 개선 ④양성평등조직문화 자문단 운영 ⑤최고경영층 핫라인 구축, 신속한 초동 대처와 피해자 보호 조치 등을 즉시 시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평가원은 조직 내 변화가 체감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ESG 평가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고용문화 개선, ESG 사회부문 평가 주요 사안

고용문화의 개선, 특히 직장 내 괴롭힘, 성추행, 성희롱 등과 관련된 개선 체계 시행은 ESG평가에 있어 주요 항목이다. 포스코는 물적분할 후 포스코홀딩스의 자회사로 재편되어 있어, 상장 모회사인 포스코홀딩스의 추후 ESG평가에 상당한 감점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ESG평가원이 판단한 포스코홀딩스의 기존 ESG 종합등급은 A+로 매우 우수하다. 포스코는 올해 3월 1일 물적분할 후 존속기업인 포스코홀딩스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포스코홀딩스는 환경부문 A등급, 사회 및 지배구조부문 S등급을 받아 종합등급 A+로 동종 업종 내 1위에 올라있다.

특히 포스코홀딩스는 탄소배출량 국내 1위 기업이라는 태생적 약점을 ESG 경영 노력으로 극복하고 있고, 사회 및 지배구조 부문에서 다른 기업의 모범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형사 고소뿐만 아니라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낮은 수준의 고용문화(직장내 따돌림, 성추행, 성희롱 등)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사회부문 평가점수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이다.

한국ESG평가원은 평가에 미칠 정확한 영향의 정도에 대해서는 향후 경찰 및 노동부 조사 결과와 회사가 내놓은 관련 조치들의 진행 상황 등을 종합 검토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