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IRA 시행 반년, 美서 10만 녹색일자리 창출 추정

  • 기자명 이진원 기자
  • 입력 2023.02.12 19:05
  • 수정 2023.02.13 13:2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풍력·태양광, 전기차 분야에 집중돼
10년 내 녹색일자리 900만 개 기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8월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의료보장 확충 등을 골자로 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서명했다. 왼쪽부터 조 맨친 상원의원, 척 슈머 상원의원, 제임스 클리번 하원의원, 프랭크 펄론 하원의원, 캐시 캐스터 하원의원. AP=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8월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의료보장 확충 등을 골자로 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서명했다. 왼쪽부터 조 맨친 상원의원, 척 슈머 상원의원, 제임스 클리번 하원의원, 프랭크 펄론 하원의원, 캐시 캐스터 하원의원. AP=연합

[ESG경제=이진원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8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서명한 이후 올해 1월 말까지, 미 전역에서 기업들이 새로 만들겠다고 발표한 녹색일자리 수가 10만 개가 넘는다는 집계가 나왔다.

이는 비영리 단체 클라이밋 파워(Climate Power)의 분석 결과다. 전기자동차와 배터리 제조, 수력 및 태양광 에너지, 가정용 에너지 효율 등 온실가스 감축 목표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의 공식발표에 담긴 녹색일자리 수를 분석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미 기업들은 IRA 시행 후 31개 주에서 90여건 총 895억 달러(114조원)의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주로 애리조나, 조지아, 미시건, 오하이오,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텍사스 주 내 수력, 태양광, 전기자동차 제조 분야에 몰려있다. 이 단체의 로리 로데스 이사는 “기업들이 전례 없는 수준 투자로 미국 곳곳에 녹색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것”이라면서 “청정에너지와 IRA로 인한 투자 덕분에 경제 호황이 예고된다”고 기대했다.

IRA 시행 후 미 31개 주 90여건 대형 녹색투자  

미 의회가 지금까지 통과시킨 기후법안 중에 최대 규모인 IRA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기 위해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에 3690억 달러(469조원)를 투입하는 내용이다. 탄소 배출 없는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 세제 혜택을 주는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까지 미국의 탄소 배출량을 2005년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2050년까지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취임 초반 약속한 바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애리조나, 미시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등에 40곳의 신규 배터리 제조 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클라이밋 파워는 “지금까지 22개 기업이 앨라배마, 오클라호마, 미시건에 전기자동차 제조공장을 새로 짓거나 기존 공장을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추가로 24개 기업이 콜로라도, 오하이오, 텍사스에 풍력과 태양광 제조 공장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매사추세츠대학 애머스트 캠퍼스의 정치경제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IRA로 인해 향후 10년 안에 미국 내에서 청정에너지와 기후관련 일자리가 900만 개 이상 생겨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다른 나라 일자리에는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 미국 안에서 IRA를 통한 사실상의 보조금 제공으로 일자리가 생겼다는 건 미국의 교역 상대국 일자리가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이 최근 '탄소중립산업법'을 만들어 역내 기업들에게 2450억 유로를 지원하기로 한 것도 미 IRA에 대한 맞대응 성격이다. 

결국 미국과 EU 등이 자국 내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해 보조금 정책을 경쟁적으로 강화하면, 지구촌의 자유무역이 퇴조해 일자리가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2025년까지 녹색일자리 8만개 창출 목표

한국은 2021년 9월 대통령 직속 제21차 일자리위원회에서 그린뉴딜 등 녹색산업 투자를 통해 2025년까지 녹색일자리 8만 개를 창출하고 녹색융합기술인재 2만 명을 양성하는 '환경분야 녹색산업 일자리 창출전략‘을 의결한 바 있다

녹색일자리는 환경을 보호하고 재생하는 직업을 총칭하는 용어다. 유엔은 녹색일자리의 정의를 ‘환경을 보존하고 재생하는 데 기여하는 농업, 제조업, 연구개발업, 관리업 및 서비스업 등에 속하는 일자리’로 본다.

미국에서는 2007년 12월 녹색일자리법(Green Jobs Act)을 제정하여 녹색일자리 창출을 늘리기 위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해 왔다. 녹색일자리 기술 훈련과 연구·개발에는 전체 비용의 50%에 해당하는 감세 혜택을 주고, 오로지 녹색일자리 창출만을 목적으로 수입하는 장비 등에는 세금을 면제해주는 식이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