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당선자 10인, 입법권과 예산권 가진 상설 기후특위 설치 기자회견
당선자들 기후 관련 정견, 한국형 IRA 제정부터 기후헌법 개정까지 다양해
민주당 박지혜 당선자, "ESG 공시 의무화 유예는 문제"...22대 국회에서 싸울 것
[ESG경제신문=김연지기자] 22대 국회를 ‘기후국회'로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다. 10일 오전 여의도 국회에서는 ‘국회기후위기특별위원회(기후특위)’ 설치를 위한 22대 국회 여야 당선인들이 모여 합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기자회견 직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는 최재천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을 포함한 각계 전문가들이 모여 22대 기후국회 구성을 위한 <기후유권자와 22대 기후국회, 연결과 확장> 심포지엄(이하 심포지엄)이 진행됐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각 당의 당선자들이 모여 기후 정견발표를 진행했다.
관련기사
- 세달 뒤 총선, "유권자들은 '기후위기 공약’ 원해"
- "한국은 기후얌체'...국제사회에 한 약속 이행 너무 느려
- [주간해외ESG] EU 및 세계 각국 정부 ESG규제 속도
- 국내 '기후소송' 첫 공개변론...청구인 측 헌재에 빠른 심판 촉구
- 기후변화로 ‘50년엔 전세계 소득 19% 줄어들 것…네이처 논문 경고
- 한국 해상풍력, 일자리 77만 개 창출...87조원 투자 창출할 것
- 튀르키예, 2024년 1분기 유럽 최대 석탄화력 전력 생산국 부상
- RE100 달성 지원 위해선 "정책적 변화 긴요"
- "35년 이후 석탄발전소 이용률 50% 미만...보상으로 조기 폐지 유도해야"
- 국회 ESG 포럼 발족...'ESG기본법' 제정 등 관련 법·제도 본격 논의
- [2025 기후국회를 말한다] ③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대 입법 촉진해야
- 촘촘히 다가오는 대선 일정...”기후 단일의제 토론 필요”
- 우원식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실질적 지원방안 마련"
- 대선 후보 전력망 공약...에너지 ‘고속도로’ vs ‘그물망’ 충돌
- 국회, 2035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자체 재생에너지 조달 포함
- 국회 기후특위, 위성곤 위원장 선임..."재생에너지 목표 크게 올려야"
- 겉도는 영농형 태양광...짧은 허가기간·임차농 문제 풀어야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