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탄소 배출 줄이는 것이 우선
나무 심기, 오히려 생물 다양성 해칠 수도

[ESG경제=김민정 기자]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숲과 나무에 집중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자동차 운행 감소, 화력발전소 가동 감축, 친환경 연료 사용 등은 물론이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저장능력을 키우기 위한 나무심기와 숲 조성도 주요 전략으로 꼽히고 있는 것.
UN은 비용 대비 효과성이 높고 빠르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기후 문제 해결수단으로 산림을 주목했고, 지난해 다보스포럼에서는 ‘1조 그루 나무 심기’가 제안되면서 세계 각국의 주요 어젠다로 확산되는 추세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12월 9일 1조 그루 나무심기 법률안이 발의되었고, 캐나다는 향후 10년간 2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온실가스 1,200만 t을 흡수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나무심기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과학자들도 지구온난화에 대한 근본적 대안이나 각 국가의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 없이, 단순히 나무심기만 주장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를 왜곡시키는 처사라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기업들이 기본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는 않으면서, 이를 흡수할 수 있는 나무만 충분히 심겠다고 하는 것은 순 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나무를 심는 것에 앞서 배출량을 크게 줄여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주장이다. ` `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난해 5월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대(UC산타크루즈) 환경과학부, 브라질 상파울로대 삼림학과 공동연구팀은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근본적인 대안 없이 나무심기를 하는 것은 기후변화 차단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뒤를 이어 생태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서는 나무심기가 기후변화를 막는 만병통치약이 될 수 없다는 결과를 담은 연구논문 2편이 발표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대(UCSB) 환경과학부, 스탠포드대 환경연구소, 칠레 콘셉시온대 산림과학부, 환경정책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센터, 벨기에 가톨릭 루뱅대 지구생명연구소 공동연구팀은 경제성만 강조하는 방식의 조립 사업이 이산화탄소 포집 효과는 적으면서 생물 다양성을 해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요크 대학의 환경학 교수인 젬포라 버만은 29일(현지시간) 더 내셔널지에 “기업과 국가가 공동으로 탄소 제로 배출을 위한 책임을 져야 한다”라며, “단순히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들겠다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으로 배출량을 삭감하려는 계획이 필요하다. 2030년, 당장 올해의 계획부터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 정부 역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비롯한 국가 주요 미래전략의 핵심 탄소흡수원으로 산림의 기능을 증진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4,560만 t으로 국가 총배출량의 6.3%를 산림에서 상쇄하고 있으나, 산림의 노후화로 인해 2050년 흡수량은 현재보다 70%가 감소한 1,400만 t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산림 부문 추진전략안으로, 30년간 30억 그루 나무 심기 등을 통해 2050 탄소중립에 3,400만 t을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4대 정책방향과 12개 핵심과제를 비롯한 추진 기반 강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