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위축시켜 사회평가 부문에 나쁜 영향.

[ESG경제=손종원 전문기자]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 7일 파업 찬반투표에서 83%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하며 정년을 65세로 연장해달라고 요구한 것은 ESG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다.
회사의 신규 채용을 위축시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 부정적 영향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장년층과 청년층의 세대간 갈등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
현대차 노조는 13일 오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오는 20일까지 파업을 보류하고 회사 측과 성실교섭 기간을 갖기로 했다. 하지만 일부 노조 집행부는 현대차 본사 정문에서 유인물을 배포하고 3개조로 철야 농성을 벌이고 있다.
현대차, 3년만의 파업 가능성 발생
현대차 노조는 파업 찬반투표 가결에 이어 중앙노동위원회가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림에 따라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해 놨다. 현대차는 2019년에 한일 무역분쟁 여파로, 지난해에는 코로나19사태로 모두 파업 없이 교섭을 마무리 했었다. 회사측은 올 임금협상에서 기본급 5만원 인상, 성과금100%+300만원, 격려금 200만원등을 제시했으나 노조가 거부했다.
이번 파업결의에는 전기차 생산확대에 따른 장기적인 일자리 감소 우려가 또다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설계와 엔지니어링, 조립과정이 단순하고, 자동화 수준도 높으며, 유지관리도 간단하기 때문에 대규모 일자리 감축이 예상된다. 글로벌 컨설팅사인 맥킨지는 전기차 생산 확대로 향후 10년간 자동차 관련 일자리가 최대 25%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65세 정년 연장, ESG평가에 부정적 영향
현대차 노조는 기본급, 성과급 인상 외에도 정년을 65세로 연장해달라고 요구했다. 실제로 지난 3월 국내 완성차3사 노조는 국회 앞 기자회견을 갖고 노동자의 안정적 노후보장을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입법화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고용 안정을 수용하는 것은 근로자 보호 측면에서 대체로 긍정적 요인이다. 그러나 노조의 정년연장 요구가 수용되었을 때, 반대 급부로 발생하는 청년실업 문제의 악화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는 사회 전체적인 일자리 유지 창출 측면에서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
이번 정년연장 이슈는 노사 합의가 이뤄질 경우 현대차의 ESG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 노조원의 현재 임금 및 복지수준을 감안할 때, 이번 파업이슈를 근로자 보호측면에서 평가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정년연장 이슈는 일자리 유지 창출에 부정적이다. 취업으로 고통받는 청년의 일자리 해결에 역행하는 행위로 판단한다. 따라서 정년연장을 이슈로 한 파업 자체는 ESG 사회책임 평가에 부정적 관찰 대상이며, 만일 정년연장이 수용될 경우 실제 부정적으로 평가받을 사안이다.
현대자동차의 ESG 평가에서 노사갈등은 부정적 영향을 미쳐왔으나 최근 2년간 협력적 관계를 보여 긍정적 신호로 바뀌는 분위기였다. 하지면 다시 갈등이 재연되는 모습을 보여 현대차의 비재무적 가치에 좋지 않을 영향을 미치치 않을까 우려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