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환경부·중기부, 탄소중립 사업화 지원 부처별 지원분야 달라
환경부, 수도권과 충남에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국립산림과학원, LA 산불 원인 분석 및 봄철 산불조심 기간 빠른 시행

산업부·환경부·중기부, 탄소중립 사업화 지원사업 공고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환경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1일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유망기업을 집중지원하는 ‘탄소중립 사업화 지원사업’을 공고하고, 참여 기업을 2월 10일부터 2월 2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산업부, 환경부, 중기부가 각각 운영하던 기존사업을 2025년부터 개편·통합하여 새롭게 추진한다. 개편된 ‘탄소중립 사업화 지원사업’은 공통적으로 지원대상 기업 선정 시 탄소중립 기여도 등을 주요 평가요소로 반영하되, 구체적인 지원 분야나 내용 등은 각 부처별로 차별화해 운영된다.
산업부는 산업 공급망 전(全)과정에서 순환경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순환경제 사업화 모델을 발굴·지원한다. 순환경제 공급망으로 연결된 기업들이 공동으로 참여(3개 기업 이상 컨소시엄 구성)하여 신청해야 하며, 컨소시엄당 연간 최대 6억원씩 최장 3개년간(최대 18억원) 지원할 계획이다. 순환경제란 제품의 전(全)과정에서 자원을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친환경 경제를 일컫는다.
환경부는 기후기술(테크) 전 분야 유망 중소·중견기업 4개사를 선정하여, 시제품 제작·개선, 성능평가, 인·검증 등 사업화 소요자금과 온실가스 감축 검증·사업화 전략 등 기술사업화 컨설팅 소요자금을 기업당 연 최대 7억원씩 최장 3개년간(최대 21억원)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타 분야 대비 사업화 및 실증에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탄소중립 분야 기술 보유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한다. 기후테크 등 탄소중립 혁신기술 보유 중소기업 10개사를 선정하여 검‧인증 획득, 투자 컨설팅 등 사업화 (6개사, 기업당 최대 2억원)를 지원한다. 또한 설비구축, 성능검증 등 실증(4개사, 기업당 최대 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 수도권과 충남에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환경부는 수도권과 충남에 21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해당 지역에 20일 초미세먼지(PM2.5)주의보가 내려졌고 21일 일평균 농도가 5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심' 단계 초미세먼지 위기 경보가 발령됐기 때문이다.
비상저감조치에 따라 행정·공공기관 소유·출입차량 2부제가 시행(민원인은 자율 참여)된다. 친환경차와 장애인·임산부·유아가 탑승한 차를 제외하고는 21일 홀수 차량만 행정·공공기관에 출입할 수 있다.
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하는 사업장과 공사장은 조업시간과 가동률을 줄이고 날림먼지 방지 조처를 실시한다.
세종과 충북에서는 예비저감조치가 시행된다. 예비저감조치는 공공 부문에서 비상저감조치 시행 전날 선제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행정·공공기관 차량 2부제 등이 실시된다.
국립산림과학원, 봄철 산불조심 기간 예년보다 8일 빠른 실행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미국 LA 산불의 대형화 원인을 분석한 후 한국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미국 LA 산불 원인을 ▲기상 조건 ▲지형 조건 ▲주민 생활권 확장과 연료량 증가 ▲산불의 연중화 현상(지구온난화로 인한 장기간 가뭄과 뜨거운 날씨가 원인)으로 꼽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산불이 대형화되고 피해가 커졌다”면서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적인 영향과 단기적인 기상 조건이 맞물려 산불의 규모와 강도를 증가시켰다”고 분석했다.
이에 한국도 산불 발생 추이 및 기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년보다 8일 빠른 1월 24일부터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잠재 재난위험 분석 보고서 발간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국민 안전에 새로운 위험으로 다가올 수 있는 잠재 재난위험 요소를 담은 ‘잠재 재난위험 분석 보고서’를 발간한다.
그간 행안부는 기후 변화와 기술 발달로 인한 신종 재난 발생에 대비해 관련 전문가와 함께 잠재 재난 위험요인을 분석해 2023년 10월부터 세 차례 발표해왔다.
이번 보고서에는 ▲산업단지 장기사용 지하매설배관 ▲전기차·이륜차 충전시설 설치장소 화재·폭발, ▲정유‧석유화학시설 화재로 총 3가지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잠재 재난위험 분석 보고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누리집(www.ndmi.go.kr)에서도 공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