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 신한·하나·우리금융 일부 반대 권고 vs 글래스루이스, 전부 찬성
"기계적 반대투표 권고 경향...의결에 실질적 영향 미치기 어려울 것"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ISS와 글래스루이스가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이사 선임 안건에 엇갈린 찬반 권고를 내 귀추가 주목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는 최근 보고서에서 정상혁 신한은행장의 비상임이사 재선임에 반대 권고를 하는 등 신한금융지주 이사 선임 안건에 무더기로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2021년 전임 회장과 행장이 라임·옵티머스 펀드의 부실 판매에 대한 감독 소홀로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는 등 문제를 일으켰으나,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ISS는 같은 이유로 김조설, 배훈, 윤재원,이용국, 곽수근 등 5명의 사외이사 재선임 안건에도 반대표를 던질 것을 권고했다.

반면, 글래스루이스는 신한금융의 이사 선임에 "모두 후보에 찬성투표를 권고한다"고 밝혀 대조를 보였다.
이들 양대 자문사는 윤인섭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 재선임 안건을 놓고도 ISS는 반대 의견을, 글래스루이스는 찬성 의견을 각각 제시했다. ISS가 "윤 이사가 전임 회장이 라임펀드 불완전판매 사태로 금융당국 경고를 받았는데도,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반대한 것과 달리, 글래스루이스는 "회사 측이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하고 있다"며 찬성투표를 권했다.
ISS는 하나금융지주 함영주 회장과 이승열·강성묵 부회장 사내이사 재선임에 반대투표를 권고했다. 박동문, 이강원, 이준서 사외이사 선임에도 반대 의견을 냈다.
ISS는 함 회장에 대해 "(파생결합펀드 손실사태 관련) 경미한 제재로 직무가 정지되지는 않았으나, 부실 감독에 주요책임이 있으며, 소비자들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직원채용 관련 업무방해 혐의 재판이 진행중인 점도 언급했다.
하지만 글래스루이스는 구체적인 분석 없이 함 회장을 비롯한 모든 이사 후보에 결함이 없다면서 찬성투표를 권고했다.
시장에서는 "ISS가 기계적으로 반대투표를 권고하는 경향이 올해도 이어진 모양새"라며 "안건 의결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한편 ISS와 글래스루이스는 KB금융지주의 주총 안건에는 모두 찬성투표를 권고했다.
관련기사
- 신한금융, 금융지주사 '여성' 관심도 1위…하나·KB금융順
- 우리금융 사외이사 7명 중 4명 교체…"경영진 견제·내부통제 강화"
- KB금융, 차은영 교수·김선엽 대표 등 사외이사 후보 6명 추천
- 우리금융 부당대출 2334억 적발…동양생명 인수 '빨간불'
- 하나금융 회추위, 함영주 회장 연임 결정...임기 28년까지
- 작년 사외이사 연봉킹은 삼성전자…9.8%줄어 1억8000만원대
- 하나금융 외국인 주주, 함영주 회장 연임 압도적 지지
- 하나금융 함영주 연임 내일 확정...금융지주 주총 이번주 개막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연임…"미래금융·기술혁신 경쟁력 강화"
- KB금융지주, 이사회 의장에 조화준 사외이사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