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문 대통령 “2050 탄소중립, 많은 일자리 만들어 낼 것”

  • 기자명 이진원 기자
  • 입력 2021.08.17 10:03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 대통령 15일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사서 밝혀
문 대통령,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책임과 저탄소 경제 전환 추진 강조
정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했지만 논란 시달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ESG경제=이진원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식에서 "'2050 탄소중립'은 결코 쉽지 않은 목표지만 그렇다고 부담으로만 인식할 필요는 없다"며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적인 사회·경제적 대전환은 지금까지 유례가 없었던 새로운 혁신을 일으키고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또 기후위기 대응에 우리가 해야 할 책임을 다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환경을 위해 자발적으로 실천해 온 국민들과 ESG 경영에 적극적으로 나선 기업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세울 수 있었던 이정표로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국제사회와 함께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며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이는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동참해 한국도 2050년 온실가스 순(純)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미다.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0으로 만들 수는 없지만, 최대한 억제하고 일부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다른 방법으로 흡수한다는, 이른바 넷 제로(Net Zero)를 지향하겠다는 뜻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서 "정부는 친환경차와 배터리, 수소경제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워왔고 석탄 발전을 줄이면서 태양광, 해상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확충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앞서가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선도적으로 저탄소 경제 전환을 추진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제적인 연대와 협력의 폭도 넓혀 가겠다"며 "특히 석탄화력발전 의존도가 큰 개발도상국들의 에너지 전환을 돕고, 우리의 '그린뉴딜' 경험과 녹색 기술을 공유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 5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했지만 ’재생에너지에 과도하게 의존한 비현실적 계획‘이라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등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는 국민 여론을 폭넓게 수렴하고 올해 안에, 실현가능한 2030년 감축목표를 공약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