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년까지 온실가스 중립 목표로 내세운 독일, 2021 목표 실행 불확실
2030년까지 배출량 65%까지 감소해야 할 것
운송, 건물 등, 전 산업분야 기후 보호 조치 적용 필요

[ESG경제=김민정 기자] 올해 독일의 탄소 배출량이 2020년에 비해 약 4700만톤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베를린에 본사를 둔 환경 싱크탱크 아고라 에네르기웬데(Agora Energiewende)가 지난 1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의 탄소 배출량은 지난 2020년, 199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싱크탱크는 2021년 상반기 독일의 온실가스 배출 데이터를 평가했으며, 이를 통해 올해 말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7억 6천만 톤에서 8억 1,200만 톤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당초 독일은 2045년까지 온실가스 중립을 목표로 내세웠으며, 새로운 기후보호법에 따라 2030년까지 65%의 배출량 감소를 약속했다.
하지만 아고라의 분석에 따르면, 독일의 2021년 목표는 달성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아고라는 독일의 2021년 상반기 에너지 소비량이 4.3%, CO2 배출량이 6.3% 증가했다고 판단했다.
지난 5월 파이낸셜타임스 등은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장관의 말을 인용해 독일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65%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1990년 대비 55% 감축'에 비해 감축량이 높아진 목표다. 이와 동시에 탄소제로 달성 시점도 2050년에서 2045년으로 앞당겨 제시했다.

독일이 2045년까지 온실가스 중립을 달성하려면, 2030년까지 배출량을 65%까지 감소해야 한다. 또 2040년까지는 88%를 감소시켜야 한다. 전문가들은 운송, 건물 및 산업을 포함한 모든 부문에 걸쳐 기후 보호 조치가 적용되어야 하며, 즉각적인 변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미국 역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와 탄소제로 달성 시점을 앞당겼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월 미국 주최로 열린 화상 기후정상회의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의 50∼52%로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 정부가 2015년 제시했던 '26~28% 감축'의 두 배에 달하는 목표다.
일본도 같은 시점에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3년 대비 46% 줄이겠다고 밝히며 기존 저감 목표 26%에서 대폭 끌어올렸다. 캐나다는 기존 2005년 대비 30% 줄인다는 목표에서 한층 강화된 40~45% 감축으로 새로운 목표를 발표했다.
영국도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78%까지 줄이겠다는 계획을 공표했다. 중국은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는 대신, 2030년을 온실가스 배출 정점으로 삼아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2050 탄소중립 계획’을 천명했다. 국제사회와 함께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다. 정부는 이후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기조를 세우고 단계적인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에 대한 일환으로,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된 'P4G(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정상회의'에서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보다 상향된 2030 NDC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