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 차액 1.3조원은 한화에너지 등 제3자 유증 통해 확보 추진
한화오션 매각대금 1.3조, 경영권 승계 자금용 의혹 잠재우기 시도
한화 측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소액주주 이득 보는 조치"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달 예고한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 규모로 1조3000억원 축소하면서 주주 불만을 잠재우고 아울러 경영권 승계 논란 불식에 나서면서 시장의 반응이 주목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일 이사회를 열고 기존에 발표한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정정 공시했다. 자금 조달 목적별로는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이 2조4000억원에서 1조6000원으로, 시설자금이 1조2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각각 줄었다.
신주 발행 가격은 기존 60만5000원에서 53만9000원으로 15% 할인됐으며 청약예정일은 6월 4일에서 6월 5일로 하루 밀렸다.
축소된 1조3000억원 규모의 자금 확보는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추진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공시 직후 낸 보도자료에서 이들 3개사가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방식이 확정되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할인 없이 참여하게 된다. 이는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소액주주는 이득을 보게 되는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는 또한 지난 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에너지에 한화오션 주식 매각대금으로 지급한 1조3000억원을 다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되돌리는 것이라는 얘기다.
한화오션 매각 대금 1조3000억원이 한화에너지 대주주의 경영권 승계 자금으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자 한화에너지가 이사들과 논의 끝에 이런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잠재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할 소액주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희석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필요한 자금 3조5000억원을 모두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설명한다.
시장에서는 지난달 3조6000억원 규모의 시상최대 역대급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안보 지형 변화와 방산 경쟁 격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에 필요한 자금이라고 밝힌 만큼 전체 유증 규모는 줄이지 않으면서 경영권 승계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