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탄소중립 앞당기려면 철강업계 변화 필수"
'35년 NDC 철강부문 30% 감축목표 설정 등 제안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기후솔루션을 포함한 기후환경단체들은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강산업의 탈탄소 전환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더불어 광양환경운동연합, 포항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ASL 등 환경단체가 모여 ‘녹색철강시민행동’이라는 연대체를 출범시켰다.
이 날은 제26회 ‘철의 날’이다. 1973년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첫 쇳물이 생산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지만,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철강 산업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철강 산업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산업의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국가 핵심 산업이다. 그러나 2023년 업체별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를 보면, 철강업 32.1%로 산업부문 내 유일하게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 대비 3.34% 증가했다.
포스코는 전년 대비 2.55% 증가한 7197만 톤, 현대제철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2927만 톤을 배출하며, 온실가스뿐 아니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서도 업종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기존에 1위였던 발전업(28.6%)를 제친 수치다.
국제환경단체 ASL과 스틸워치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주요 철강사들은 재생에너지 직접 조달 비중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철강업계의 탈탄소 전환이 지연되면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차질이 우려된다.
실제로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수정하면서, 산업 부문 감축목표를 14.5%에서 11.4%로 낮췄고, 철강업종의 감축목표는 아예 제시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녹색철강시민행동’은 새정부에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서 철강 부문 30% 감축 목표 설정 ▲철강 부문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도입 및 산업 탈탄소 재원 확대 ▲수소환원제철, 전기로 등 저탄소 생산설비 투자비용의 30% 지원 ▲녹색철강 기준 마련과 공공조달 확대 등 시장 창출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강화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녹색무역장벽’을 넘어서기 위해서라도 철강 산업의 탈탄소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유럽연합, 미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에서 친환경 철강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철강업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빠른 친환경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환경단체들은 “철강 산업의 탈탄소 없이는 국가 탄소중립도 불가능하다”며 정부와 기업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앞으로 정부와 기업에 적극적인 탄소중립을 촉구하고, 에너지전환과 소비자 인식개선을 위한 범시민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