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기후 대응·재생에너지 확대...’40년 석탄화전 폐쇄
韓 재생에너지비중 올해 첫 10% 돌파했지만...OECD 최하위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새 정부는 에너지정책의 중심을 재생에너지에 두고 있어 재셍에너지 발전의 목표 비중을 확대하고 연간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량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관련기사
- 이재명 상법 개정 본격 추진…"취임후 2~3주안에 처리할 것"
- '기후에너지부' 들어선다...이재명 대통령 ESG 정책은?
- 韓 산업계가 배출권 거래제 약화 주도?..."상의·포스코·한경협 지목"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이재명 "ESG 공시 의무화 조기 시행...로드맵 제시할 것"
- [스페셜 리포트] 대선 후보 '지배구조' 부문 공약...'밸류업' 한 목소리
- [스페셜 리포트] 21대 대선 주요 후보 '사회' 부문 공약 비교
- [스페셜 리포트] 21대 대선 주요 후보 '환경' 부문 공약 비교
- 민주당 기후위기대응위, 기업 RE100 지원 정책협약 체결
- 한국 2030 NDC 달성 난망..."탄소세 등 추가 수단 필요”
- 이재명 정부, 환경·에너지 정책 전환…“산업계엔 위기이자 기회”
- 李 "ESG평가 우수기업 정부 지원 우대...정책금융 비중 확대"
- 온실가스 감축인지예산 '허울' 뿐...정부기관 61곳중 16곳만 편성
- “한일, 저탄소 전력 투자 ‘35년 700억달러...태양광·풍력이 주도”
- 기후단체, 철강산업 탈탄소 전환 촉구…'녹색철강시민행동' 출범
- 100대 국정과제 선정 '국정기획위원회'에 기후·에너지TF 설치될까
- 미국 1분기 태양광 발전량 10.8GW 증가...신규 발전량의 69%
- 민주당 탄녹위원장 “산업·에너지부문 포괄하는 기후에너지부 필요”
- 미국 탄소국경세 도입시 "5년간 재정수입 최대 1981억달러"
- 베트남, 8월 1단계 ETS 도입...‘29년까지 무상할당
- 미국 상원, IRA 수정안 공개...청정에너지 세액 공제 조건 완화
- 새정부 에너지 고속도로 ‘속도전’…실효성엔 갑론을박
-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시급...'탄소중립산업’ 개념·지원근거 명시해야"
-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 개발사업 예타 통과
- 이재명 정부 ESG정책..."성장 전략 삼아 제도화 가속"
- 위기의 3대 석유화학단지...2.9조 투자로 '청정화학산업' 전환 가능
- "무탄소전력 초과수요 해소하려면 PPA 범위에 원전 포함해야"
- 이재명 정부 ESG 정책 강화...“지속가능성 공시, 정책 대응 핵심 수단”
- CCS 용량 급증...”‘30년 2억1000만톤으로 확대 전망“
키워드
Tags #이재명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RE100 산단 #수소환원제철 #석탄발전소 폐쇄 #재생에너지 #기후에너지부 신설 #탄소중립산업법 제정 #석탄화력 발전소 폐지지역 지원법 #전기차 #그린수소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원자력 발전 #SMR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