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정책 시나리오에서 건물·산업·운송 부문 전력 수요 7% 증가 전망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한국과 일본의 저탄소 전력 투자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오는 2035년에는 700억달러(약 95조원)로 2025년의 650억달러보다 8%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관련기사
- 美 텍사스주 공화당 의원 추진 반재생에너지 법안 결국 무산
- 이재명 정부, 환경·에너지 정책 전환…“산업계엔 위기이자 기회”
- “탄소장벽 5년내 현실화...새정부, '30년 재생에너지 30%로 상향”
- '기후에너지부' 들어선다...이재명 대통령 ESG 정책은?
- 韓 산업계가 배출권 거래제 약화 주도?..."상의·포스코·한경협 지목"
- 미국 1분기 태양광 발전량 10.8GW 증가...신규 발전량의 69%
- 미국 발전비용 들여다 보니..."재생에너지가 가장 경제적"
- 미국 상원, IRA 수정안 공개...청정에너지 세액 공제 조건 완화
- 기후·산업안전 리스크, 어떤 경로로 재무제표에 반영되나
- 구글, ‘30년 넷제로 목표 유지...탄소 배출은 증가
- 국내 화석연료 발전 사상 첫 50% ↓...태양광 발전도 신기록
- "무탄소전력 초과수요 해소하려면 PPA 범위에 원전 포함해야"
- ‘50년 넷제로 땐 석유·가스 수요 급감...대규모 '업스트림 사업' 불필요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