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틸리티·에너지산업, 기후·산업안전 리스크, 장기 밸류에이션 결정 변수”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기후 변화를 포함한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은 기업의 재무적 위험으로 이어져 재무제표에 반영되고 기업 가치에도 영향을 미친다.
관련기사
- EU, 탈원전서 ‘원자력 확대’로 대전환...원전 산업 새국면 맞나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 미국 상원, IRA 수정안 공개...청정에너지 세액 공제 조건 완화
- 미국 발전비용 들여다 보니..."재생에너지가 가장 경제적"
- 탄소가격제 수입 2년 연속 1000억달러 초과...80개국 시행
- 세계은행, 개도국 원전 자금 지원금지 조치 해제…원전 건설 ‘파란불’
-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위해 탄소 예산 조속히 산출해야”
- 미국 1분기 태양광 발전량 10.8GW 증가...신규 발전량의 69%
- “한일, 저탄소 전력 투자 ‘35년 700억달러...태양광·풍력이 주도”
- “배터리 덕에 24시간 태양광 전력 공급 가능”
- GRI, 새로운 기후·에너지 공시기준 발표...ISSB 배출량공시 사용 가능
- 기상재해 갈수록 태산..."올해 보험 프로텍션 갭 5% 증가"
- ISSB, 9개 산업 SASB 공시기준 개정안 공개
- 김영훈 노동부장관 후보 "사업주 위험성평가 미흡시 벌칙 적용해야"
- 손보사 화석연료금융 194兆..."기후위기 대응체계 조기 도입해야"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