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무탄소전력 초과수요 해소하려면 PPA 범위에 원전 포함해야"

  • 기자명 김대우 기자
  • 입력 2025.07.14 10:0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협 'PPA 제도 활성화 정책과제' 보고서...PPA 제도개선 시급
철강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대산업 무탄소전력 충당률 53% 그쳐
"2042년 무탄소 전력 수요 초과분, 서울 전력 소비량의 47% 달해"
원전 PPA에 포함하고 이용률 10%p 높이면 충당률 101.8% 전망

한울원전 전경.   사진=한울원자력본부
한울원전 전경.   사진=한울원자력본부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전력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무탄소 전력 초과수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전력구매계약(PPA)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우리 기업들이 효율적으로 무탄소 전력을 수급할 수 있도록 친환경 재생에너지 PPA 범위에 원전 포함해야한다는 얘기다.

14일 한국경제인협회의 'PPA 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주력산업은 경영 위기와 함께 무탄소 전력 사용 요구 등 이중고를 겪고 있지만 철강 석유화학 등 4대 산업의 경우 전력수요를 무탄소 전력으로 충당할 수 있는 비율이 올해 기준 53.4%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무탄소 전력 충당률이 2038년 81.6%, 2042년 93.0%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초과수요 문제는 여전할 것으로 한경협은 전망했다. 2042년 부족분은 21.4TWh(테라와트시)로 이는 작년 서울시 전력 소비량(45.8TWh)의 47%에 달한다.

한경협은 이같은 만성적인 초과수요를 해결하기 위해선 PPA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PPA는 계약기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말한다.

보고서는 "PPA를 통해 조달할 수 있는 무탄소 전력원은 재생에너지로 한정돼있는데, 여기에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을 포함하면 무탄소 전력 초과수요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존 원전을 PPA에 포함하고 원전 이용률을 10%포인트 높인다면 2042년 무탄소 전력 충당률이 101.8%로 오른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산업부의 11차 전력수급계획(2024~2038) 전원별 발전량 및 비중 전망.   그래픽=연합뉴스
산업부의 11차 전력수급계획(2024~2038) 전원별 발전량 및 비중 전망. 그래픽=연합뉴스

이 밖에도 재생에너지 구매 부대비용 경감, 전력배출계수 연 단위 공고 등이 PPA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