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건립 신청 300개 쌓여...센터 하나당 5만가구 전력수요와 맞먹어"
“수도권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맞춰 줄 전력계통망 향후에도 충족 어려워”
"데이터센터 분산특구에 위치시켜야...전력계통영향평가 간소화 고려중"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인공지능(AI) 서비스 확대로 인한 데이터센터 설립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수도권의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력계통망이 갖춰지지 않았으며, 향후에도 이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구글, ‘30년 넷제로 목표 유지...탄소 배출은 증가
- 전세계 에너지부문 탄소 배출량 '신기록'... 전력수요 급증이 원인
- 새정부 에너지 고속도로 ‘속도전’…실효성엔 갑론을박
- [정책브리핑]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후보지, 경기·부산 등 7곳
- 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 ‘30년까지 “2배 이상 증가”
-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 주민수용성 제고 방안 부족”
- 데이터센터 6% 기후재난 고위험군...'인프라 손실 리스크' 노출
- "무탄소전력 초과수요 해소하려면 PPA 범위에 원전 포함해야"
- 구글, AI 데이터센터 위해 4조원대 수력발전 계약 체결
- 아마존, 지난해 탄소배출량 6% 증가세 반전...구글도 11% 늘어
- 李정부 '탄소중립 산업육성 로드맵' 마련 착수
- 원전 중심 11차 전기본 수정 목소리 고조..."정부에 전면 재검토 건의”
- 국내 5대 빅테크 데이터센터 배출량 16% 증가…재생E 고작 6%
- 갈길 먼 AI 3대 강국...국내 1위 삼성전자 글로벌에선 후발주자
키워드
Tags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전력공급 #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 #국회 #국민의힘 #박충권 #AI #전력망 #전력인프라 #전력계통영향평가 #분산에너지법 #분산특구 #지방 #수도권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