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11% 증가
2019년대비 51% 증가
[ESG경제=이신형기자] 구글이 2030년 넷제로 달성 목표를 유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데이터센터 탄소 배출량 급증으로 지난해 구글의 탄소 배출량이 1150만톤으로 11%나 증가했고 2019년대비 51% 급증함에 따라 구글의 2030년 넷제로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관련기사
- “빅테크 기후목표 신뢰성에 의문...데이터센터 배출량 급증”
- 전세계 에너지부문 탄소 배출량 '신기록'... 전력수요 급증이 원인
- 소버린 AI 시대 에너지 난제...엔비디아·삼바노바·그록이 뚫는다
-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작년 18% '껑충'…2030 목표 달성은 ‘요원’
- AI 안전법 美뉴욕주의회 통과..."선제적 내부통제체계 마련해야"
- “한일, 저탄소 전력 투자 ‘35년 700억달러...태양광·풍력이 주도”
- 사막으로 몰려가는 데이터센터에 물 부족 경고등 켜졌다
- 구글, 개발 중인 ‘핵융합’ 전력 구매…‘꿈의 에너지’ 상용화 탄력받나
- 탄소 다배출 AI, “잘 활용하면 배출량 감축에 기여”
- AI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건립 계획 55% 차지해 송전망 '골치'
- 데이터센터 6% 기후재난 고위험군...'인프라 손실 리스크' 노출
- “탄소 크레딧 80% 이상 실제 감축량 반영 못해...감사 제도가 문제”
- 구글, AI 데이터센터 위해 4조원대 수력발전 계약 체결
- 아마존, 지난해 탄소배출량 6% 증가세 반전...구글도 11% 늘어
- 구글, 美 테네시주에 SMR 건설…2030년부터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 국내 5대 빅테크 데이터센터 배출량 16% 증가…재생E 고작 6%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