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축 사업 개발자나 등록기관 선정 감사인 편향성 드러내"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탄소 크레딧의 무결성 문제가 도마에 오른 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실제 감축 실적을 반영하지 못하는 탄소 크레딧이 80% 이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관련기사
- EU, 탄소 크레딧 사용 규정 마련...무결성 기준 등 포함
- 구글, ‘30년 넷제로 목표 유지...탄소 배출은 증가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에 정부 역할 중요”
- 탄소크레딧 수요 확대 위한 정부 연합체 결성…싱가포르·영국 등 가입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 탄소가격제 수입 2년 연속 1000억달러 초과...80개국 시행
- 전환기 맞은 자발적 탄소시장...거래량 감소 속 가격 차별화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국내 대기업이 탄소 상쇄에 관심 적은 이유
- EU 기후목표 달성에 탄소 크레딧 활용...기대와 우려 교차
- 베라·S&P 글로벌 차세대 등록부 개발 맞손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