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테크, 탄소상쇄에 적극적...탄소 제거 크레딧 주요 수요처"
국내 기업 ETS 외에 탄소 상쇄 나설 유인 적어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국내 대기업들은 자발적 탄소시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탄소 상쇄에 나서는 글로벌 빅테크와 달리 탄소 상쇄에 대한 관심이 적다.
관련기사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고품질 크레딧 프리미엄 상승"
- 탄소 크레딧 차별화 심화..."CCP 라벨 선호도 1위"
- 탄소 크레딧 활용 개도국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시동
-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입 가속화”...한국 배출권 금융자산 되려면?
- 베라,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위한 ‘전환 크레딧’ 발급 방법론 공개
- VCMI, 스코프 3 배출량 상쇄에 탄소 크레딧 허용 지침 제시
- 프랑스 탄소 크레딧 사용 지침 마련..."고품질 크레딧으로 제한"
- 탄소제거 시장 ‘29년 250억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정부, NDC 달성에 자발적 탄소시장 활용 검토
- 베라, 6개 탄소감축 방법론 CCP 라벨 승인 받아
-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공급 부족 우려
- CDM 탄소감축 사업, 파리협정 6.4조 사업 전환 논란
- EU ‘4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국제탄소시장 활용 검토
- ICVCM CCP 라벨과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비교해 보니
- ICVCM, 3개 쿡스토브 사업에 CCP 라벨 등급 승인
- 베라-헤드라 , 자발적 탄소시장 디지털화 '맞손'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韓 산업계가 배출권 거래제 약화 주도?..."상의·포스코·한경협 지목"
- 전환기 맞은 자발적 탄소시장...거래량 감소 속 가격 차별화
- 유럽의 지속가능경영 50대 기업 살펴보니…슈나이더일렉트릭 1위
- 국내 기업 그린워싱 적발 4년새 2400건 급증…"주요 정보 생략"
- 탄소가격제 수입 2년 연속 1000억달러 초과...80개국 시행
- 베트남, 8월 1단계 ETS 도입...‘29년까지 무상할당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 EU ETS 6조 크레딧 허용 놓고 ‘갑론을박’
- 탄소크레딧 수요 확대 위한 정부 연합체 결성…싱가포르·영국 등 가입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에 정부 역할 중요”
- “탄소 크레딧 80% 이상 실제 감축량 반영 못해...감사 제도가 문제”
- 골드 스탠다드, 공학기반 탄소제거 인증기준 발표...적격 제거활동은?
- 정부, 논란 많은 NDC 국제감축 "목표 달성 최대한 노력”
- 자발적 탄소시장플랫폼 내년 도입...양질 크레딧 공급·수요 확보 관건
- CCS, 손쉬운 해결책 아냐…저장용량 2100년 전에 소진될 수도
- EU, ETS 2 안정 대책 발표...톤당 45유로 초과 시 방출 물량 2배 확대
키워드
Tags #KIS자산평가 박용진 본부장 #자발적 탄소시장 #탄소 크레딧 #ICVCM #CCP 라벨 크레딧 #CORSIA 적격 크레딧 #고품질 탄소 크레딧 #규제적 탄소시장 #국제감축사업 #마이크로소프트 #내부탄소가격제 #내부 탄소세 #그림자 탄소가격 #사내 배출권 거래제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