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30 전까지 크레딧 구매 관한 공통 기본 원칙 발표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싱가포르와 영국, 케냐 등 5개국이 자발적 탄소시장(VCM)에서의 탄소 크레딧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정부 연합체를 결성했다.
관련기사
- EU ETS 6조 크레딧 허용 놓고 ‘갑론을박’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 전환기 맞은 자발적 탄소시장...거래량 감소 속 가격 차별화
- 베라-헤드라 , 자발적 탄소시장 디지털화 '맞손'
- 국내 대기업이 탄소 상쇄에 관심 적은 이유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에 정부 역할 중요”
- “탄소 크레딧 80% 이상 실제 감축량 반영 못해...감사 제도가 문제”
- EU 기후목표 달성에 탄소 크레딧 활용...기대와 우려 교차
- 탄소크레딧 표준화 프레임워크 출시...인증기관ㆍICVCM 요구 통합
- 필리핀 9월 탄소 시장 개설...에너지부문 대상
- COP 30 개최국 브라질의 야심찬 계획...탄소가격제 연합 결성 추진
김현경 기자
news@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