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감축 실적 확보 위해 다양한 수단 강구
무결성 논란 빚어진 CDM사업 6.4조 전환 물량 사후 구매도 검토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서 12.9%를 차지하는 국제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자발적 탄소시장 활용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 국제감축목표 달성 ‘빨간불’...감축 실적 구매도 어려워
- 베라, 6개 탄소감축 방법론 CCP 라벨 승인 받아
- 美 캘리포니아, 배출권 거래제 ‘30년 이후까지 연장 추진
- 호주, 다배출 산업시설 대상 새로운 탄소 크레딧 제도 신설
-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공급 부족 우려
- CDM 탄소감축 사업, 파리협정 6.4조 사업 전환 논란
- IMO, 선박 온실가스 감축 잉여 실적 거래 허용
- 탄소 제거 크레딧 시장 '껑충'..."35년 20조원 전망"
- 무보-MIGA, 캄보디아 탄소감축 사업에 보험 공동 제공 계획
- 파리협정 6.4조 인증 탄소 감축사업, 출발부터 무결성 논란
- 파리협정 6.2조 감축사업 본궤도...57개국, 97개 양자협정 추진
- 파리협정 6조 탄소시장 급팽창 전망...‘30년 1670억달러 규모
- ICVCM, 3개 쿡스토브 사업에 CCP 라벨 등급 승인
- 탄소제거 시장 ‘29년 250억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프랑스 탄소 크레딧 사용 지침 마련..."고품질 크레딧으로 제한"
- VCMI, 스코프 3 배출량 상쇄에 탄소 크레딧 허용 지침 제시
- 베라,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위한 ‘전환 크레딧’ 발급 방법론 공개
-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입 가속화”...한국 배출권 금융자산 되려면?
- 탄소 크레딧 활용 개도국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시동
-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정부 맞춤지원 시급
- 국내 제조기업 3곳중 2곳, 탄소중립 정책 '규제'로 받아들여
- 탄소 크레딧 차별화 심화..."CCP 라벨 선호도 1위"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고품질 크레딧 프리미엄 상승"
- 국내 대기업이 탄소 상쇄에 관심 적은 이유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전환기 맞은 자발적 탄소시장...거래량 감소 속 가격 차별화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 EU ETS 6조 크레딧 허용 놓고 ‘갑론을박’
- 김성환 환경장관 후보자 “2030NDC 원점 재검토”...후퇴 의미 아냐
- 정부, 논란 많은 NDC 국제감축 "목표 달성 최대한 노력”
- “CCUS·국제감축 비중 비현실적...국내감축 확대"
키워드
Tags #온실가스 감축사업 #국제감축사업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NDC #카본마켓워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플랜1.5 #파리협정 6.4조 #파리협정 6.2조 #상응조정 #탄소 크레딧 무결성 #선도 계약 #탄소 크레딧 사후 구매 #자발적 탄소시장 #CDM사업 6.4조 전환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