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록펠러 재단, 2030년까지 60기 석탄발전소 폐쇄 목표
베라가 ‘전환 크레딧’ 방법론 제공...필리핀서 첫 사업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미국 자선단체인 록펠러 재단이 탄소 크레딧을 활용해 개발도상국의 석탄 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발전 사업자에게 인센티브로 탄소 크레딧을 제공해 석탄 발전소의 조기 폐쇄와 재생에너지 발전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관련기사
-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입 가속화”...한국 배출권 금융자산 되려면?
- 트럼프 정책에 흔들리는 탄소 포집 산업...DAC 투자 급감
- VCMI, 스코프 3 배출량 상쇄에 탄소 크레딧 허용 지침 제시
- 프랑스 탄소 크레딧 사용 지침 마련..."고품질 크레딧으로 제한"
- 탄소제거 시장 ‘29년 250억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정부, NDC 달성에 자발적 탄소시장 활용 검토
- 베라, 6개 탄소감축 방법론 CCP 라벨 승인 받아
-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공급 부족 우려
- CDM 탄소감축 사업, 파리협정 6.4조 사업 전환 논란
- 탄소 크레딧 프로젝트 참여자 60%, 소유권 변경 리스크 가장 우려
- ICVCM CCP 라벨과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비교해 보니
- 파리협정 6.2조 감축사업 본궤도...57개국, 97개 양자협정 추진
- 파리협정 6조 탄소시장 급팽창 전망...‘30년 1670억달러 규모
- ICVCM, 3개 쿡스토브 사업에 CCP 라벨 등급 승인
- 국내 탄소배출권 선물시장 연내 개설 어려울 전망
-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정부 맞춤지원 시급
- 탄소 크레딧 차별화 심화..."CCP 라벨 선호도 1위"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고품질 크레딧 프리미엄 상승"
- 국내 대기업이 탄소 상쇄에 관심 적은 이유
- 베라-헤드라 , 자발적 탄소시장 디지털화 '맞손'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전환기 맞은 자발적 탄소시장...거래량 감소 속 가격 차별화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 국민 44% "국민연금 석탄투자 축소해야"...ESG투자 고려 요구도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