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민간항공기구가 만든 탄소 상쇄제도
CORSIA 2단계에서는 수요 2배 급증 전망
저가 탄소 크레딧 가격은 폭락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탄소 크레딧 시장에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CORISA 적격 탄소 크레딧이 공급 부족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관련기사
- CDM 탄소감축 사업, 파리협정 6.4조 사업 전환 논란
- IMO, 선박 온실가스 감축 잉여 실적 거래 허용
- EU ‘4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국제탄소시장 활용 검토
- 탄소 제거 크레딧 시장 '껑충'..."35년 20조원 전망"
- 탄소 크레딧 프로젝트 참여자 60%, 소유권 변경 리스크 가장 우려
- 무보-MIGA, 캄보디아 탄소감축 사업에 보험 공동 제공 계획
- 파리협정 6.4조 인증 탄소 감축사업, 출발부터 무결성 논란
- ICVCM CCP 라벨과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비교해 보니
- 파리협정 6.2조 감축사업 본궤도...57개국, 97개 양자협정 추진
- 파리협정 6조 탄소시장 급팽창 전망...‘30년 1670억달러 규모
- ICVCM, 3개 쿡스토브 사업에 CCP 라벨 등급 승인
- 베라, 6개 탄소감축 방법론 CCP 라벨 승인 받아
- [해외브리핑] 영국, 탄소 배출권 6개 ‘무결성 원칙’ 발표
- [정책브리핑] 전국 우체국망 활용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 확대
- 정부, NDC 달성에 자발적 탄소시장 활용 검토
- 탄소제거 시장 ‘29년 250억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프랑스 탄소 크레딧 사용 지침 마련..."고품질 크레딧으로 제한"
- VCMI, 스코프 3 배출량 상쇄에 탄소 크레딧 허용 지침 제시
- 탄소 크레딧 활용 개도국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시동
- 국내 제조기업 3곳중 2곳, 탄소중립 정책 '규제'로 받아들여
- 탄소 크레딧 차별화 심화..."CCP 라벨 선호도 1위"
- 탄소 크레딧 무결성 개선..."고품질 크레딧 프리미엄 상승"
- 국내 대기업이 탄소 상쇄에 관심 적은 이유
- 전환기 맞은 자발적 탄소시장...거래량 감소 속 가격 차별화
- 탄소가격제 수입 2년 연속 1000억달러 초과...80개국 시행
- 국내 최초 파리협정 국제감축사업 성사...40만t NDC 달성에 활용
- 파리협정 6.4조 감독기구 ‘억제 수요’ 기준 채택
- 자발적 탄소시장플랫폼 내년 도입...양질 크레딧 공급·수요 확보 관건
- 넷제로 금융연합 붕괴로 지속가능 보험 후퇴?...탄소보험 등 ”기회 요인에 주목해야”
키워드
Tags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파리협정 6조 국제탄소시장 #ICVCM #CCP 라벨 탄소 크레딧 #자발적 탄소시장 #상응조정 #ICAO #국제민간항공기구 #유엔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